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물론적 역사관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

이용수 136

영문명
Dialogues between Materi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Christian Theology
발행기관
혜암신학연구소
저자명
강원돈(Won Don Kang)
간행물 정보
『신학과교회』제12호, 241~299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마르크스주의와 기독교 사이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개관하였다.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기독교인들은 오랫동안 적대와 대립 관계를 맺었지만, 1960년대 말에 이르러 대화의 물꼬를 트기 시작했고, 사회주의를 옹호하는 기독교인들의 운동이 발전하면서 둘 사이에 전략적 동맹까지도 모색된 바 있다. 이러한 역사적 개관을 전제하면서 필자는 논의의 초점을 유물론적 역사관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에 맞추고 두 가지 질문을 던졌다. 하나는 기독교 역사관의 특성이 무엇인가이고, 또 다른 하나는 기독교 신학의 관점에서 유물론적 역사관을 용인할 수 있는가이다. 기독교 역사관의 특징에 관련해서 필자는 종말의 빛에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과 방법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필자는 궁극적인 것과 궁극 이전의 것 사이의 긴장관계에 초점을 맞춘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점을 수용하여 전망을 갖춘 현실주의를 가다듬었다. 전망을 갖춘 현실주의의 핵심은 세상이 하나님의 나라에 투명해지도록 사회를 변화시키고 역사를 발전시키는 기독교인들의 책임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기독교인들은 현실의 문제들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해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현실 분석 방법을 필요로 한다. 유물론적 역사관에 관련해서 필자는 그것이 청년 마르크스가 사회와 역사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가운데 가다듬은 연구 지침이라는 것을 밝혔다. 유물론적 역사관은 인간의 삶이 의식을 결정하지 그 반대가 아니라는 실천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관계들을 분석하고 그 관계들을 일관성 있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엄격하게 활용하여 현실을 분석하면, 현실 관계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거기에 깃든 문제들도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해법도 적절하게 모색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물론적 역사관은 하나님 나라에 투명해지도록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무리 없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역사적 유물론을 수용하기는 어렵다. 역사적 유물론은 유물론적 역사관과 엄격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그것은 스탈린에 의해 소련의 공식적인 역사관으로 자리잡았다. 역사적 유물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의 법칙들을 사회와 역사에 적용하여 역사 발전의 법칙들을 밝힌다고 자처했는데, 역사 연구 방법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역사 형이상학이라고 볼 수 있다. 역사적 유물론은 공산당의 무오성 신화와 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의 세계사적 사명을 뒷받침하는 이론이며, 거기서 일종의 세속적 메시아주의가 비롯된 바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first historically outl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xism and Christianity. For a long time Marxists and Christians have faced hostilities; by the end of the 1960s they began to have dialogues, and then a part of progressive Christians was ready to stand for socialism. As a consequence, there was even a strategic alliance between Marxists and Christians. In presupposing such historical overviews, I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dialogues between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and Christian theology and raised two questions: one is what is characteristic in Christian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another is if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can be allowed from Christian perspective on history, and to which measure.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understanding of history,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method and perspective on how to see the history in the light of the end times(eschaton). I accepted and elaborated the eschatology of Dietrich Bonhoeffer, in which he focused on tensions between the ultimate and the pre-ultimate. From this I draw consequences for realism with perspective. The core of the realism with prospective is to clarify Christians’ responsibility for changing society and developing history, in order that the world can be transparent to the kingdom of God. Christians aware of this responsibility need appropriate methods of reality analysis with which they accurately analyze problems and find solutions. Concerning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I made clear that the Young Marx had refined his research guidelines on ground of his insights and experiences in empirically investigating society and history. His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led to analyzing relations historically formed and explain them coherently in terms of practical-materialistic affirmation that human life determines consciousness and not vice versa. If people use this method strictly to analyze reality, they can see real relationships accurately and grasp problems hidden in them clearly, so that they can find solutions accordingly.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can be easily accepted by Christians who are willing to change the world and make it transparent to the kingdom of God. Christians, however, find it difficult to accept the historical materialism. It must be strictly distinguished from Marxian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The historical materialism was established by Stalin as the official view of the Soviet Union. Its task would be to grasp the so-called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s by applying the so-called laws of dialectical materialism to society and history. The historical materialism is rather a sort of metaphysics of history than a method of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assumption of the infallibility of the Communist Party and of the special mission of the proletariat on the way to the classless society came terrible appearance forms of secular messianism.

목차

I. 머리말: 잊힌 대화의 복원과 과제의 설정
II. 종말과 역사를 어떻게 매개하는 것이 적절한가
III. 유물론적 역사관과 유물론적 역사 형이상학
IV. 맺음말: 기독교 신학은 마르크스주의와 어떤 대화를 나눌 수 있는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원돈(Won Don Kang). (2019).유물론적 역사관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 신학과교회, (12), 241-299

MLA

강원돈(Won Don Kang). "유물론적 역사관과 기독교 신학의 대화." 신학과교회, .12(2019): 241-2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