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종후의 대모산 별서(別墅)

이용수 52

영문명
발행기관
태학사
저자명
이종묵
간행물 정보
『문헌과 해석』통권 제67호, 89~10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서에 있는 대모산(玳瑁山, 大母山, 大姥山)은 강남 사람들의 휴식처다. 지금은 별 유적이 남아 있지 않지만 이곳에도 조선 시대 명환의 자취가 서려 있다. 정조 연간 산림의 학자 김종후(金鍾厚, 1721~1780)의 집도 그곳에있었다. 김종후는 자가 백고(伯高), 호가 본암(本庵), 혹은 진재(眞齋)다. 청풍 김씨(淸風金氏), 이 집안은 영정조 연간 최고의 권력을 휘둘렀다. 김종후의 직계는 김계(金繼), 김인백(金仁伯), 김극형(金克亨), 김징(金澄)등으로 내려온다. 김징은 김구(金構, 1649~1704), 김유(金楺) 두 아들을 낳았다. 우의정을 지낸 김구는 후에 김희로(金希魯, 1673~1753), 김재로(金在魯, 1682~1759) 두 아들을 낳았는데 이들도 각기 참판과 영의정을 지냈다. 김희로는 좌의정을 지낸 이세백(李世白)의 딸과 혼인하여 김치만(金致萬,1697~1753)을 낳았고, 김치만은 홍석보(洪錫輔)의 딸과 혼인하여 김종후와김종수(金鍾秀, 1728~1799)를 낳았다. 김재로도 잘난 아들을 두었으니 영의정을 지낸 김치인(金致仁, 1716~1790)이 그의 아들이다. 김유의 아들 역시 고관을 지냈다. 김약로(金若魯, 1694~1753)가 좌의정에 올랐고, 그 아우 김상로(金尙魯, 1702~1766)는 영의정까지 올랐다. 18세기 권력의 정점에는바로 이들 집안이 있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김육(金堉), 김좌명(金左明), 김우명(金佑明), 김석주(金錫冑)로 이어지는 계파 역시 이들 집안이지만, 워낙 이른 선대에 갈려나가 그 거리가 매우 멀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묵. (2014).김종후의 대모산 별서(別墅). 문헌과 해석, , 89-107

MLA

이종묵. "김종후의 대모산 별서(別墅)." 문헌과 해석, .(2014): 89-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