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현실기기 사용이 눈피로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Ocular Fatigue and Use of a Virtual Reality Device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상혁(Sang Hyeok Lee) 김마르다(Martha Kim) 김효선(Hyosun Kim) 박철용(Choul Yong Park)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2, 125~13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의 가상현실기기 사용으로 인한 눈피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건강한 젊은 성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HMD 형태의 가상현실기기를 10분간 사용하도록 하고, 눈피로에 대해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피로의 주관적 평가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객관적 평가로는 임계플리커융합빈도, 조절미세파동검사(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의 고진동수 영역(high frequency component)과 조절력의 변화는 Push-up method와 자동굴절검사기의 동적조절력검사를 통해 시행하였다. 그리고 구면렌즈대응치의 변화를 측정했다. 결과: 시청 후 주관적인 설문 평가에서 눈피로가 증가하였고(p=0.020), 객관적인 평가에서는 조절미세파동검사의 고진동수 영역검사에서 우세안의 눈피로 증가와(p<0.05), Push-up method를 통한 조절력검사에서 비우세안의 조절력 감소(p=0.007)와 일시적 근시화(p<0.05)가 관찰되었다. 임계플리커융합빈도에서는 눈피로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고, 동적조절력검사에서도 조절력의 유의한 변화(p>0.05)가 없었다. 결론: 주관적인 검사와 일부 객관적 평가에서 눈피로의 증가가 확인되어 HMD 사용이 눈피로를 증가시킨다고 추정할 수 있었지만, 임계플리커융합빈도와 동적조절력검사에서 눈피로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은 점이 한계로 남는다. 추후 HMD 기기 사용으로 인한 눈피로의 감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ocular fatigue after the use of a head-mounted display (HMD)-type virtual reality device. Methods: Healthy adult volunteers were examined for ocular fatigue before and after watching videos for 10 min with an HMD-type virtual reality device. Subjective ocular fatigue was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Objective fatigue was measured using the 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 (CFF), high 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and accommodation amplitude. The accommodation amplitude was measured using the push-up method and the dynamic measurement mode of the autorefractometer. Changes in the spherical equivalent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questionnaire-based subjective ocular fatigue increased (p = 0.020) after use of the HMD device. In the dominant ey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accommodative microfluctuation increased (p < 0.05). The accommodation amplitude using the push-up method was decreased in the nondominant eye (p = 0.007), and temporary myopia was observed (p < 0.05). However, there was no increase in ocular fatigue in the CFF or the accommodation amplitude using the dynamic measurement mode,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using the HMD device (p > 0.05). Conclusions: A subjective test and some objective tests suggested that use of the HMD-type virtual reality display increased ocular fatigue. However, no increase in ocular fatigue was measured using CFF nor in the accommodation amplitude using the dynamic measurement mode which was a limitation of the study. More studies with the aim to alleviate ocular fatigue after using HMD-type virtual reality devices are therefore need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혁(Sang Hyeok Lee),김마르다(Martha Kim),김효선(Hyosun Kim),박철용(Choul Yong Park). (2020).가상현실기기 사용이 눈피로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대한안과학회지, 6 (2), 125-137

MLA

이상혁(Sang Hyeok Lee),김마르다(Martha Kim),김효선(Hyosun Kim),박철용(Choul Yong Park). "가상현실기기 사용이 눈피로에 미치는 영향 평가 연구." 대한안과학회지, 6.2(2020): 125-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