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90

영문명
The effect of education-job mismatch of university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문찬주(Moon, Chan Ju) 한지혜(Han, Jihye) 정동욱(Jeong, DongWook)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8권 제4호, 51~8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6년 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교육-직무 불일치 중, 수직적 불일치 양상에 주목하여 적정 수준, 과소교육, 과다교육의 세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불일치 양상의 임금 효과,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보다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표본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불일치는 약 35%정도였으며, 특히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과소교육불일치의 경우, 임금효과가 부적이었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경우, 과소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과다교육 불일치와 과소교육 불일치 모두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직무 불일치 중, 과소교육 불일치의 경우 성과와 적응 측면에서 모두 부적인 효과가,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교육-직무 수준 불일치의 생산성 제고와 적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대책으로 교육-직무 수준의 수평적 일치, 즉 전공일치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에 반응하여, 전공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 수준 및 역량 제고와 진로적성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에 특화된 직무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구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진입 인력의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고,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classified education-job inconsistencies into the three groups which are appropriate levels, under-education, and over-education. Among these mismatches, this study focused on vertical inconsistency and its effects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get a more precise estimation, we tr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problem by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by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job mismatch was about 35%. Especially, the case of over-education mismatch has been increasing. Second, in the case of under-education mismatch, the wage effect was negative, and over-education mismatch did not have any effect on wages. Third,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nd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ov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the degre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higher, more productive effect was shown in both over- and in-education discrepanc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and consider the students choice of careers with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In addition, the company-level job-oriented training program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찬주(Moon, Chan Ju),한지혜(Han, Jihye),정동욱(Jeong, DongWook). (2019).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8 (4), 51-81

MLA

문찬주(Moon, Chan Ju),한지혜(Han, Jihye),정동욱(Jeong, DongWook).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8.4(2019): 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