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영상을 이용한 얼굴 표정 복합 정서 인식 비교 연구

이용수 784

영문명
An Investigation of Complex Emotion Recognition Using Video Clips in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이지훈(Lee, Jihoon) 정경미(Chung, Kyong-mee)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9권 제3호, 27~5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청소년 집단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캠브리지 감정 읽기 배터리(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를 참조하여 정서 읽기 동영상 과제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ASD 청소년의 얼굴 표정을 통한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이 첫째, 일반 청소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두 집단의 차이가 있다면 긍정적/부정적 정서종류에 따라 다른지, 셋째,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조사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13-17세의 청소년 22명과 연령을 매칭한 일반 청소년 22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 상으로 18가지의 복합 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컴퓨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ASD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자폐적 특성 설문지(AQ)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비모수 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검증과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서 인식 총점, 인식 정확도 점수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 모두 ASD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에 비해 정서 인식 점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ASD 청소년 집단에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인식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ASD 청소년 집단의 정서 인식 총점은 연령, 지능, 자폐적 특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n Korea. For this, the Mindreading Video Task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mbridge Mindreading Face Battery(CAM). We demonstrated, first if the difference existed in adolescents with ASD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in facial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and second, whether if the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their negative or positive emotions, and third, whether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in adolescents with ASD were associated with their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or not. In this study, 22 subjects with ASD aged between 13 and 17 and 22 typically developing controls, matched for age, were chosen to compar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For the all subjects, a computer assignment which evaluates 18 complex emotion recognition ability was performed, and Autism-Spectrum Quotient(AQ) was administered additionally for the ASD adolesc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that the ASD group had scor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s on the emotion recognition scores and the recognition accuracy scores. Furthermore, the ASD group scored lower than the controls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ir posi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negative emotion recognition abilities. Last, the total scores gained by the ASD group in the emotion recognition ability tes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intelligence and autistic character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this research were furtherly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훈(Lee, Jihoon),정경미(Chung, Kyong-mee). (2019).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영상을 이용한 얼굴 표정 복합 정서 인식 비교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9 (3), 27-50

MLA

이지훈(Lee, Jihoon),정경미(Chung, Kyong-mee).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영상을 이용한 얼굴 표정 복합 정서 인식 비교 연구."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9.3(2019): 2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