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재집』을 통해 본 내상(內喪)의 의례와 음식 연구

이용수 27

영문명
A Study on Ritual and Food of Wife s Death through 『Seongjaejib』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최배영(Choi, Bae-yo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45집, 131~17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 반가(班家)의 상례문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신응순(辛應純:1572-1636)의 『성재집(省齋集)』 내상잡의(內喪雜儀)에 나타난 의례와 음식의 실상 그리고 그에 내재된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에는 의례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진전되어 중국과 조선 제가(諸家)의 예설(禮說), 예속(禮俗) 그리고 이를 탐구하는 학자 자신의 경험이 담긴 예서(禮書)의 저술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성재집』 내상잡의도 상례에 관한 신응순의 연구 노력과 그의 경험이 축적된 결과물이었다. 둘째, 생활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1615년 5월 전남 영광군 신응순 가(家)의 내상(內喪)은 아버지가 생존해 계시는데 어머니가 돌아가신 부재모상(父在母喪)에 해당되었다. 이에 자녀들은 1년 동안 자최장기(齊衰杖朞)의 의례를 행한 후 심상삼년(心喪三年)을 이어나갔다. 셋째, 내상의례에 수반된 고인을 위한 음식은 준비와 진설에 있어 산 사람을 섬기는 것과 같은 정심(正心)과 정행(正行)의 예(禮)가 중요시되었다. 조객(弔客)을 위한 음식으로는 차(茶)를 대접하였는데 이는 사치보다는 검소한 예를 지킬 수 있고 손님은 슬픔을 다하는 정중한 예를 행할 수 있는 음식으로 그 가치가 언급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고찰한 『성재집』 내상잡의는 상주로서 신응순이 직접 경험하고 기록한 의례와 음식의 실상을 보여주며, 이는 당시 사회가 지향한 규범적 지침의 이행, 그가 학자로서 심도 있게 탐구한 예학의 이론 적용, 아내를 향한 정(情)와 예(禮)가 공존하는 행례, 그리고 변례(變禮)의 상황에서 융통성이 발휘된 상례문화를 반영하였다.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ongjaejib』, a 17th-century literature written by Shin Eung-soon(1572-1636). The purpose of the thesis was to analyze his wife s death ritual, food, and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The major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academic research on rituals progressed, and the work of writing books on rituals containing the views of many scholars, social customs, and experiences of researchers was in earnest. Shin Eung-sun also recorded the funeral rite for his wife based on his research and experience. Second, the death of the wife of Shin Eung-soon, Yeongnam-gun, Jeollanam-do, in May 1615 was a case where the mother died while the father survived to the children. The children then performed rituals for their mother for one year, and for the next two years they mourned and missed their mother in their hearts. Third, the food for the deceased accompanying the rituals was regarded as courtesy such as serving the living in preparation and table setting. Tea was served as a food for mourners, its value was mentioned as food that could keep frugality and perform politeness with sorrow. In conclusion,『Seongjaejib』showed the reality of rites and foods that Shin Eung-soon experienced and recorded at his wife s funeral. These represented a culture that reflected the implementation of normative guidelines oriented to society at that time, the application of ritual theories he explored in depth as a scholar, the practice of coexistence of affection and courtesy towards his wife, and the flexibility of the situation.

목차

Ⅰ. 서 론
Ⅱ. 17세기 반가의 내상의례
Ⅲ. 내상의례에 나타난 음식
Ⅳ. 내상의 의례와 음식에 내재된 특징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배영(Choi, Bae-young). (2019).『성재집』을 통해 본 내상(內喪)의 의례와 음식 연구. 차문화산업학, 45 , 131-172

MLA

최배영(Choi, Bae-young). "『성재집』을 통해 본 내상(內喪)의 의례와 음식 연구." 차문화산업학, 45.(2019): 131-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