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류문화 콘텐츠 영향 및 한류콘텐츠 산업 마케팅 방안 연구

이용수 455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nd the Marketing Strategy for the Korean Wave Contents Industry
발행기관
대한경영교육학회
저자명
조은미(Eun Mi, Cho)
간행물 정보
『경영교육저널』제29권 제1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류 열풍을 성장하는 한류문화로 발전시키고, 한류문화콘 텐츠 활용 마케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한류문화에 대하여 파악하고, 한류문 화콘텐츠 산업의 영향을 파악하며, 한류문화를 활용한 마케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란 중국, 동남아 지역에서 유행하는 대중문화 열풍을 가리 키는 말이며, 한류문화의 발전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수출된 드라마 콘텐츠를 중심으로 본격화되어 한류 1.0시대, 2000년대 중후반 K-Pop 열풍으로 한류 2.0시대, 일부 대중문화를 넘어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의 확산을 목표로 한류 3.0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한류문 화의 영향은 소비재 수출의 증가,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문화 콘텐츠 수출의 급증, 서비스업 중심으로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 하고 있다. 둘째, 한류문화콘텐츠 산업의 영향을 살펴보면, 인기 있는 한류문화 콘텐츠는 한식, 패션뷰티, K-pop, TV 드라마, 영화와 온라인과 모바일 게임, 애니메이션과 만화, 캐릭터, 도서(출판물)순으로 나타났다. 한류콘 텐츠 접촉 경로는 TV 드라마, 예능프로그램, 영화, K-pop, 애니메이션과 만화, 캐릭터, 온라인과 모바일게임을 통한 접촉 및 구매가 이루어졌 다. 셋째, 한류문화콘텐츠 활용 마케팅 방안은 한식과 식료품 관련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채널을 통한 PR과 관광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외국인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외국인들의 한식에 대한 호감도를 다른 제품과 서비스에 연계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한류 상품을 수출하는 지역과 나라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하고, 한류와 첨단 IT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류문화의 성장, 발전을 위한 기업측면, 정책측면에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측면에서는 한류콘텐츠와 다양한 분야의 융복 합이 요구되고, 정책측면에서는 한국의 대중문화예술 및 순수문화예술이 다양한 경로로 외국인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콘트롤 타워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the Korean Wave further into Korean Wave culture, and proposing a marketing strategy using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nd finally, providing basic data that could help businesses become more competitive. So we have to understand the Korean Wave culture, identify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issue a marketing strategy using Korean Wave cul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Wave refers to the pop culture fever prevalent in China and Southeast Asia; the Korean Wave culture began to develop with the drama contents exported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passing through the Korean Wave 1.0 era and the Korean Wave 2.0 era with the K-POP fever in the mid and late 2000s and developing into the Korean Wave 3.0 era aimed at spreading the interest through the entire culture of Korea.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culture include the increase in the export of consumer good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the rapid increase in the export of culture contents, and the increase in the direct investment by foreigners.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industry, the most popular Korean Wave culture content was Korean food, followed by fashion and beauty items, K-POP, TV dramas, films and online and mobile games, animations and comics, characters, and books (publications). The channels for accessing and purchasing Korean Wave contents included TV dramas, entertainment programs, films,K-POP, animations and comics, characters, and online and mobile gam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contents related to Korean food and groceries with the objective of presenting a marketing strategy using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It is also necessary to connect PRs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tourism programs so that foreigners can experience them; a marketing strategy is essential for associating foreigners’ favor for Korean food with other goods and servic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the regions and nations to which Korean Wave products are exported and combine Korean Wave with up-to-date IT technology to spread into diverse industr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Wave cultur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Korean Wave contents with various fields in terms of businesses and to build a control tower that helps Korean pop and pure culture arts get access to foreigners through diverse channels in terms of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한류문화 고찰
Ⅲ. 한류콘텐츠 산업영향
Ⅳ. 한류문화 콘텐츠 활용 마마케팅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미(Eun Mi, Cho). (2018).한류문화 콘텐츠 영향 및 한류콘텐츠 산업 마케팅 방안 연구. 경영교육저널, 29 (1), 27-53

MLA

조은미(Eun Mi, Cho). "한류문화 콘텐츠 영향 및 한류콘텐츠 산업 마케팅 방안 연구." 경영교육저널, 29.1(2018):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