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이나교 스야드바다(syādvāda)의 기원에 대하여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Syādvād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최지연(Ji Yeon Choe)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54輯, 148~177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7.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야드바다란 어떤 인식이든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없고 ‘~일 수도 있다’는 식의 추측성 명제만 성립된다는 개념이다. 즉 모든 사람은 자신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같은 대상을 다르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인식만이 옳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고 다른 인식의 상대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태도를 말한다. 본 논문은 스야드바다로 대표되는 자이나교의 상대주의적 인식논리학이 어떤 기원을 갖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서 현재 스야드바다의 기원으로 논의되고 있는 세 가지 설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첫째는 부정화법(否定話法), 둘째는 붓다의 비일향기(非一向記, anekāṃsika), 셋째는 분석적 답변(vibhajjavāda)이다. 이 가운데 비일향기와 분석적 답변은 자이나교와 불교가 갖는 시대적·사상적 유사성에 기반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개념을 비교한 것이다. 이에 비해 부정화법은 자이나교와 불교 이전부터 통용되었던 인도의 사상적 배경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Ⅱ장에서 스야드바다의 개념과 기원에 대한 논의의 대략을 살펴본 후 Ⅲ장에서는 부정화법과 인도의 회의론을 중심으로 스야드바다와의 개념적 연관성을 살펴보았고 Ⅳ장에서는 불교 초기 아함에 등장하는 붓다의 비일향기와 분석적답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스야드바다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정통파에서 부정화법을 사용하는 것은, 진리에 대한 회의론적 태도를 전제로 할 때 그들이 내린 판단은 거짓말이 되거나 혹은 취착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이나교의 스야드바다 역시 이러한 견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불교의 비일향기, 분석적 답변과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스야드바다는 ‘참 아니면 거짓’이라는 논리 방식에서 벗어나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다른 다양한 가르침이 성립될 근거가 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Syādvāda is the epistemological relativism in the Jainism. This doctrine holds that no perception is absolutely right; therefore, only a speculative proposition like maybe is established. In this paper, I aim to researc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Syādvāda (manifoldness theory). Recent studies have discussed that there are three doctrines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root of the manifoldness theory. They are ① neti neti (meditative analysis through negation) ② anekāṃsika (non-categorical statement) of the Buddha, and ③ vibhajjavāda (analytical methodology). Among them, Buddhist and Jaina applied methods of the anekāṃsika and the vibhajjavāda according to their doctrinal system since they have periodic and philosophical similarities in various aspects. However, neti neti could be placed to have appeared before the period of Jainism and Buddhism. In Chapter II, I examine the origin and concept of the Syādvāda. Moreover, in Chapter III, I analyse Syādvāda’s conceptual association with neti neti statement and sceptical agnosticism of Sañjaya Belaṭṭhiputta. And then in Chapter IV, I review the idea of the anekāṃsika and the vibhajjavāda of the Buddha mentioned in the early Buddhist texts (Nikāya). Through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conclude with two significant points about the origin of Syādvāda. Firstly the reason that Śramanism utilised the neti neti statement is that any definite judgement would be a fault or an object of attachment if they keep a sceptical position on truth. Therefore, Jaina’s Syādvāda also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is view. Secondly, the Syādvāda or manifoldness theory in Jaina could be a theoretical basis for different teachings, depending o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beyond the logic of true or fals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스야드바다 개념과 기원에 대한 논의 소개
Ⅲ. 부정화법과 회의론
Ⅳ. 스야드바다에 관한 불교의 유사 개념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Ji Yeon Choe). (2019).자이나교 스야드바다(syādvāda)의 기원에 대하여. 보조사상, 54 , 148-177

MLA

최지연(Ji Yeon Choe). "자이나교 스야드바다(syādvāda)의 기원에 대하여." 보조사상, 54.(2019): 148-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