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이용수 490

영문명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ile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발행기관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저자명
김민경(Kim, Min-Kyung) 조선경(Cho, Sun-Kyung) 신제구(Shin, Je-Goo)
간행물 정보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3권 제1호, 47~6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확실한 조직환경에서 구성원은 완벽한 성과를 강요받으며,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높은 목표를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원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조직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침묵 간에 관계를 검증하고 직무소진의 매 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다양한 직종의 300인 이상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42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변수의 측정시기를 구분하여 진행함으로써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문제를 최소화 하였으며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통제변수(control variable)를 사용해 변수 간의 가설 관계를 명확하게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침묵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소진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침묵 간에 정(+)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 구성원의 사회부과적 완벽주 의 특성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을 높게 경험하며 침묵하려는 경향을 높게 만들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조직에서 경험하는 개인의 정서 상태에 의해 침묵을 하기보다는 조직과 리더로부터 탁월하고 차별화된 성과를 강요받는 상황에서 직무소 진과 침묵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실증 결과를 토대로 자기결정성이론과 목표-경로이론에 기반하여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an uncerta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members are forced to achieve perfection and tend to pursue unrealistic high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imperative perfectionism and the silence indicating the activation level of the organiza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we used data from 423 workplaces in more than 300 companies in various occupations. The questionnaire identified the timing of variables. therefore common method bias was minimized.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o clearly test hypothese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has a positive effect on silence. Second, job burnout showed positive (+) mediating effects between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ilence. This implies that the higher the social prescribed perfectionism characteristic of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the higher the job burnout and the higher the tendency to silence. It can be deduced that the job burnout and silence are increa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excellent and differentiated achievement is imposed from the organization and the leader rather than the silence due to the personal emotional state experienced 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based on the of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 – determination theory and the goal - path theory. In addit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경(Kim, Min-Kyung),조선경(Cho, Sun-Kyung),신제구(Shin, Je-Goo). (2019).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교육컨설팅코칭연구, 3 (1), 47-65

MLA

김민경(Kim, Min-Kyung),조선경(Cho, Sun-Kyung),신제구(Shin, Je-Goo).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교육컨설팅코칭연구, 3.1(2019): 4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