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 식민지기 전문학교입학자검정제도에 관한 시론

이용수 272

영문명
The Study on the Qualification Exam for JeonMunHakKyo(專門學校) Entrance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자중(Kim Jajoong)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1輯, 55~8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전문학교입학자검정제도’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그 교육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총독부가 ‘전검제도’를 도입한 이유는 3.1운동 이후 안정적인 식민지 지배를 위해 실시한 ‘문화정치’라는 정책 기조 하에서 당시 일본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었던 ‘전검제도’를 식민지 조선에도 실시함으로써 차별적 제도를 완화하고 전문학교 입학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전문학교 입학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이와 함께 식민지 조선사회를 회유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다. 둘째 1925년 4월 20일에 전문학교입학자검 정규정 의 전면개정을 기점으로 시험검정은 제도화됐다. 즉 이때부터 시험검정은 조선총독부 주관, 정기적 실시와 조선총독부관보에 출원기한 시험시행의 기일 장소의 고시, ‘학과목합격제도’ 와 ‘학과목면제제도’의 도입, 7월 공고-10월 실시-11월 합격자 발표라는 형태를 갖추게 됐다. 기타 시험장소는 1927년부터 1곳에서 1939년부터 5곳으로, 시험횟수는 1926년부터 연 1회에서 1942년부터 연 2회로 확대됐다. 셋째 시험검정 지원자는 1920년대 초반에는 주로 전문학교의 ‘구령에 의한 재학자’였으나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이들과 4년제 고등보통학교 졸업자가 점차 감소하고 그 자리를 각종학교 출신과 독학자가 대체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총독부가 오랜 기간 시험검 정의 시험장을 1곳, 시험횟수를 연 1회로 제한했던 탓에 전검합격자 수는 저조했다. 넷째 그럼에도 ‘전검제도’가 교육사적 의의를 갖는 것은 첫째 ‘전검제도’가 5년제 고등보통학교(중학교)를 졸업 하지 않은 사람에게 전문학교 입학기회를 부여했으며 실제로 이를 통해 그들 중 일부가 전문학교 입학기회를 획득할 수 있었다는 점, 둘째 ‘전검제도’가 독학의 계기로서 작용하여 이를 통해 독학자 간에 고등보통교육이 보급되는 데에 일정 부분 기여했을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Qualification Exam for JeonMunHakKyo(專 門學校) Entrance(QEJE)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GGk) introduced the QEJE to provided for people who couldn t enter five-year-course middle school with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But also It was system for conciliating the minds of the Koreans who got the educational fever and required education opportunities including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Secondly, the GGk reformed the QEJE in 1925. As a result, the GGk administered the QEJE regularly, announced the deadline for application, exam date and site in the official gazette, introduced the splitting exams and the exemption system, increased exam site after 1939 and the annual number of exam after 1942. Also, people who passed the QEJE could be employed government officials or teachers. Thirdly, in early 1920s the applicants were people who were entered JeonMunHakKyo by old regulation, but after the mid 1920s the applicants were the Miscellaneous School graduates and the self studied men. But the number of people who passed the QEJE were very small because the GGk limited site and the annual number of exam for a long time, and also the rate of passing applicants were very small because the applicants weren’t people who received formal school education after the mid 1920s. Nevertheless, the QEJE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h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Because it provided people who couldn t enter five-year-course middle school with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and let them started self study, as a result spread middle school leveled common knowledge among the Koreans during the Japanese rul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전검제도’의 도입 배경
Ⅲ. 시험검정의 제도
Ⅳ. 시험검정 지원자/응시자와 합격자 분석
Ⅴ. ‘전검제도’의 교육사적 의의
Ⅵ.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중(Kim Jajoong). (2019).일제 식민지기 전문학교입학자검정제도에 관한 시론. 교육문제연구, 71 , 55-88

MLA

김자중(Kim Jajoong). "일제 식민지기 전문학교입학자검정제도에 관한 시론." 교육문제연구, 71.(2019): 5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