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논문] 마태오 릿치와 탁사 최병헌의 보유론(補儒論)적 기독교 이해의 차이와 한계
이용수 7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이정배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2003년 가을호(제122집), 82~10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wo theologians, M Ricci' s and Choi Byunghun' s(崔炳憲).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M. Ricci was the first Catholic missionary in China and wrote the famous book 『天主實義』. In this book, M. Ricci brought his positive interpretation of classicai Confucianism in the point of Catholic theology. For him, Catholic 天主 is not different from Confucian 上帝. Choi Byunghun wrote the book 『萬宗一巒』 as the first theologian in Korea. In this book he also evaluated positively the Confucianism. He tried to understand Christian truth based on his Confucian experience. He said. "東洋之天卽西洋之天", because he believed that all religions have almost the same taste. In addition to this, these two thinkers agreed with each other in the point that Christian truth will accomplish the Confucianism(補儒論). However, they were different in the way to reach these common result. As a Catholic missionary M. Ricci used the framework of thomistic natural theology in order to read Confucian Texts. But the protestant pastor, Choi Byunghun started to make dialogue in terms of Christology. In fact, 『天主實義』 had not reference to Christology.
In this artic1e I will try to show that Choi's attempt will be more sustainable for the Confucian-christian dialogue. However, I also will criticize Choi's 補儒論 and point out the limitation of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t is the reason that I believe the cosmology of Neo-confucianism can make an appeal for
a paradigm change of Christian theology.
목차
Abstract
들어가는 글
1. 인문학적 동서 문명 교류자로서의 릿치와 최병헌
2. 유교와 그리스도교의 연속성 문제 : "上帝 卽天主와 東洋之天 卽西洋之天"
3. 릿치의 『천주실의』와 최병헌의 『만종일연』의 내용비교 - 신중심적 보편주의와 기독론 중심의 보편주의
4. 마태오 릿치와 최병헌의 보유론적 유교 이해의 의미와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구논문] 주기도에 관한 문학비평적 연구
- [연구논문] 토착화신학의 근거문제
- 한국 신학과 교회 발전에 기여한 한국신학연구소 30년
- [한국신학연구소 창립 30주년 특집 심포지엄Ⅰ] 한국의 신학과 교회 발전의 과제
- [특집논문] 한국 신학과 교회 발전에 기여한 한국신학연구소 30년 - 『신학사상』과 신학서적 출판을 중심으로
- [연구논문] 정신분석학과 여성 종교 경험의 이해
- [연구논문] 마틴 루터의 세상당국과 공권력 이해
- [연구논문] 마태오 릿치와 탁사 최병헌의 보유론(補儒論)적 기독교 이해의 차이와 한계
- [한국신학연구소 창립 30주년 특집 심포지엄Ⅱ]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
- [연구논문] 한국개신교회의 건축문화와 그 정체성 : 분당 신도시 근교의 교회건축이미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