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46년 3·1절: 해방 후 첫 번째 역사논쟁

이용수 139

영문명
Commemorat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1946: The First History War after Liberation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박명수(Park, Myung Soo)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38집 제1호, 85~12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방 후 건국과정에서 중요한 이슈 가운데 하나가 역사적 정통성에 관한논쟁이다. 우익은 3·1운동과 임시정부에, 좌익은 일제 강점기의 지하운동에 각각 역사적 정통성을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1946년 3·1절 기념행사는 우익 주도의 기미독립선언전국준비위원회와좌익주도의 3·1기념 전국준비위원회로 나뉘어서 전자는 민주의원의 후원으로 서울운동장에서, 후자는 민주주의 민족전선의 후원으로 남산공원에서 열렸다. 우익은 종교단체, 학생, 청년, 부녀, 동 대표 등의 조직을 동원하여 약 10만에서 20만 명을 동원하였으나 좌익은 언론사와 예술계의 협조에도 불구하고 1만 5천명 밖에 동원하지 못했다. 이 논쟁은 단지 대중동원의 문제만이 아니었다. 우익은 3·1운동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고, 이승만과 김구는 이런 정통성을 계승한다고 주장하였다. 좌익은 3·1운동은 민족대표들의 리더쉽의 부재로 실패로 끝났고, 노동자와 농민이 진정한 민족대표라고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e first commemora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46 was divided into two, each sponsored by the Korean Democratic Assembly and the Korean Democratic People s Front respectively. The former consisted of official programs at Bosingak pavilion and a mass rally at Seoul stadium, and the later was composed of official programs at Tapgol park and a mass rally at Namsan park. The rightist s Seoul stadium rally summed up to a total participation of 100~200 thousand people, which was in sharp contrast with the leftist s Namsan park rally with only about 15 thousand people. This controversy was not merely a matter of public mobilization. The rightists recognized the March 1st movement as an independence movement initiated by the 33 national representatives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 leftists connected the March 1st movement to the Soviet Bolshevik Revolution and its failure to the lack in leadership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insisted that the genuine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farmers and labourers. The general public accepted the rightest view.

목차

Ⅰ. 서언
Ⅱ. 1946년 3·1절 기념식 준비과정과 좌우의 대결
1. 민족진영의 3·1절 준비: 기미독립선언전국준비위원회의 결성과 대한국민대표 민주의원
2. 3·1절 행사와 학생 및 시민단체의 동원문제
3. 좌익의 반격: 3·1기념 전국준비위원회의 형성
4. 언론사들의 중재와 민족주의자들의 반응
Ⅲ. 좌우 진영의 3·1절 기념행사 상황
1. 민주의원 측의 3·1절 행사
2. 민주주의 민족전선측의 3·1절 행사
3. 서울운동장과 남산공원의 시민대회
Ⅳ.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수(Park, Myung Soo). (2016).1946년 3·1절: 해방 후 첫 번째 역사논쟁.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 (1), 85-122

MLA

박명수(Park, Myung Soo). "1946년 3·1절: 해방 후 첫 번째 역사논쟁."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1(2016): 85-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