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북관계발전과 판문점선언에 관한 법제 구축

이용수 625

영문명
The establishment of Leg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류지성(RYU Ji Sung)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4卷 第4號, 109~151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남북평화와 통일을 위해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법제도를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안정적이고 발전적인 남북관계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겠으나 법제적인 측면에서는 남북관계의 법치주의를 방안으로 제시한다. 이 법치주의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남북합의의 규범력을 확보하는 것인데 남북합의서는 남북한이 특수한 관계에 있다는 전제에서 국내법질서나 국제법질서 어디에도 따르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여 규범력에 대한 논란이 있다. 그러나 남북합의에 대한 사항을 이행하는 것은 통일이라는 국가와 민족의 목표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통일정책을 위해서는 남북관계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모든 남북합의서를 법제화할 필요는 없겠으나 국가나 국민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합의서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그 절차와 실체적 내용은 헌법과 국제법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남북 간에 발전적이고 정치적으로 국민의 결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도 국회의 비준동의를 받도록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현행법은 어떤 남북합의서가 국회의 비준동의를 얻어야 하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담고 있지 못하고 국회의 동의를 얻어도 규범적으로 어떤 효력을 발생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란을 노정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 헌법 제6조 제1항에 남북합의서의 효력을 조약과 함께 규정하거나 남북관계발전법에 법의 효력 및 국회동의 대상에 대해서도 명확히 개정할 필요가 있다. 판문점 선언의 이행을 위하여는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국회동의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해석의 명확성을 두고 논란이 있다는 지적을 하였다. 특히 정치적으로 선언될 종전선언에 이어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그 법적 성질이 강화조약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헌법에 따라서 체결하고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즉, 중요한 것은 평화협정체결이 우리 헌법질서에 반하지 않도록 그 내용을 규정하고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는 것이다. 만약 평화협정이 체결된다면 북한의 법적 지위에 대해 가졌던 기존의 입장과 관련하여 중대한 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농후하고, 관련 국내법으로서 대표적으로 국가보안법 규정이 일부 개정되어야 하는 부분은 과제로 남았다. 또한 안정적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운영을 위해서는 남북관계발전법에 설치근거를 남기고 사무소 내에 근무하는 공무원 등을 위한 영사협정체결 및 관련 국내법의 제ㆍ개정이 필요하다. 결국,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적 여건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일관된 대북정책추진과 남북관계를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법치주의의 틀 속에서 규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남북이 맺는 합의는 반드시 우리 헌법질서 속에서 내용이 만들어져야 하고, 국민적 합의에 기반한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도록 해야만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legal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seek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Inter-Korean Peace and Unification. There may be many ways for stable and progressive inter-Korean relations, but from the legal point of view, the rule of law in inter-Korean relations is suggested as a possible measure. The most key point of this rule of law is to secure the normative power of inter-Korean agreement, but, on the premise that two Koreas have a special relationship,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normative power of inter-Korean agreement because there are difficulties in follow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gal form. However,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is equivalent to the nation and people’s goal of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legislation for inter-Korean rel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a continuous and consistent unification policy. It is not necessary to legislative any and all inter-Korean agreements, but an agreement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 and people must go through a procedure to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and the procedure and substantive content should be conform to the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law. More specifically, it is also necessary to align related laws to undergo ratification from National Assembly as a means of securing democratic legitimacy if people’s decision about inter-Korean relation is needed from the constructive and political perspective. The current law does not specifically define which inter-Korean agreements should be ratifi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refore there is still a controversy over what the normatively effective effect would be even though inter-Korean agreement would be ratifi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effect of the inter-Korean agreement with the treaty in Article 6(1) of the current Constitution or expressly revise the effect of the law and the object of the National Assembly ratific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Development Ac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I had already pointed out that there is controversy over clarify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nature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and whether it is the object of the National Assembly Ratification. In Particular, if a peace agreement is signed following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war which will be politically declared, it is confirmed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treaty is equivalent to the peace treaty so it must be sign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ratified by the National Assembly. In other word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a peace agreement should be regulated and processed so that it does not violate our constitutional law. If a peace agreement is signed, it is highly likely that significant changes will occur in relation to the existing position on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 and it remains a task that the National Security Law, which is a representative domestic law, should be partly revised. 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a stable inter-Korean joint liaison office, it is necessary to conclude a consular agreement and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related domestic law to leave the basis for establishment of the office in Inter-Korean Relations Development Act and for the public servants who work in the office. After all, for the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important to pursue consistent policies to North Korea and to regulate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rule of law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t this time, the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 must be made in the constitutional law, and should ensure democratic legitimacy based on national consensus.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관한 검토
Ⅲ. 판문점 선언 비준에 대한 국회동의 검토
Ⅳ. 판문점 선언의 후속과제에 대한 검토
Ⅴ.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지성(RYU Ji Sung). (2018).남북관계발전과 판문점선언에 관한 법제 구축. 헌법학연구, 24 (4), 109-151

MLA

류지성(RYU Ji Sung). "남북관계발전과 판문점선언에 관한 법제 구축." 헌법학연구, 24.4(2018): 109-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