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의 불일치와 건강 간의 연관성

이용수 403

영문명
Relationship of Health and Discrepancy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ncome Stratum: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박지은(Ji-Eun Park) 권순만(Soonman Kwon)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38집, 95~1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의 일치 여부와 이것이 건강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최종 분석에는 만 20세 이상의 가구주 5,508명이 포함되었다. 일치 여부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소득계층이 객관적 소득계층보다 낮은 경우에는 하향 불일치 집단,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 집단,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소득계층이 객관적 소득계층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향 불일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주관적 건강 수준과 우울증 유병 가능성 두 가지를 사용하였고 로짓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가구주의 34.0%가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이 일치하였으며, 48.6%는 하향 불일치, 17.4%는 상향 불일치를 나타냈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하향 불일치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관련 특성을 통제했을 때, 주관적 건강은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이 일치하는 집단보다 상향 불일치 집단이 더 양호했으며, 하향 불일치 집단과는 관계가 없었다. 우울증 유병 가능 여부 측면에서는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이 일치하는 집단은 하향 불일치 집단에서 우울증 유병 가능성이 높았고, 반대로 상향 불일치 집단은 일치 집단보다 우울증 유병 가능성이 낮았다. 계층 불일치 여부는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적인 불평등이나 불공정함의 수준과도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결과를 해석하거나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때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health status and discrepancy between objective income stratum and subjective one(upward discrepancy, consistency, and downward discrepancy). Criteria for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stratum was determined by family disposable income. If subjective stratum were higher than objective stratum, then the group was classified as upward discrepancy group (vice versa). For this study,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in year 2011 were analyzed with the sample including 5,508 households aged 20 and over.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were analyzed as dependent variables in the logit analysi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first, 34.0% of households showed consistency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income stratum. About half (48.6%) and 17.4% of households were classified as having a downward discrepancy and upward discrepancy households, respectively. Second, upward discrepancy group was likely to assess their health as good, and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downward discrepancy or consistency group. In terms of depression (high or low risk of depression), however, downward discrepancy group was likely, and upward discrepancy group was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sistency group. Discrepancy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income stratum is associated with socio-structural inequality as well a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one should be cautious in interpreting the results and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목적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은(Ji-Eun Park),권순만(Soonman Kwon). (2015).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의 불일치와 건강 간의 연관성. 보건과 사회과학, 38 , 95-121

MLA

박지은(Ji-Eun Park),권순만(Soonman Kwon). "객관적 소득계층과 주관적 소득계층의 불일치와 건강 간의 연관성." 보건과 사회과학, 38.(2015): 95-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