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39

영문명
Study on Frailty Profiles and Associated Factors in Later Adulthood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영선(Kim, Young-Sun) 강은나(Kang, Eunna)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8권 4호, 963~97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애에 걸쳐 축적된 노인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노년기 허약유형을 발견하고 허약 유형별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70세 이상 노인으로 한정하였으며, 전국 70세 이상 노인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지역(시·도)을 기준으로 비례할당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403명 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노년기 허약수준과 유형 파악은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Tilberg의 허약지표 (Tilberg frailty indicators)를 활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노인의 허약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허약유형의 결정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은 다차원허약형(27.0%), 심리적 허약형(26.8%), 일상도움필요형(46.2%)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 모두 일상생활문제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도움을 충분히 받고 있지 못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다차원허약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체 및 심리적 허약 위험이 높고, 부분적으로 사회적 허약 수준이 높았다. 심리적 허약형은 우울이나 슬픔, 불안과 초조 등과 같은 심리적 허약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며, 일상도움필요형은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건강한 편이나 일상생활 문제처리의 어려움이 있으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을 기준집단으로 허약유형별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차원허약형은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며, 영양관리상태가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심리적 허약형은 남성 노인일 가능성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으며, 흡연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과 궤적에 대한 논의와 허약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ailty profiles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of function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showing the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Respondents were 70 years and older(n=403)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bgroups based on Tilberg Frailty Indicators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Also, we performe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factors making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Latent class analysis(LCA) identified three distinct types: multi-frail type(27.0%), psychologically frail type(26.8%), inadequate support type(46.2%). All three types had common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daily life problems and did not receive enough help with theses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CA three-class models, people in multi-frail type accumulated problem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domains and had partially social domain. On the other hands, psychologically frail type showed a relatively hig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Lastly, people in inadequate support type reported the lack of helps, but they were relatively healthy. Comparing these groups with inadequate support type, people with multi-frail had lower educational level, poor nutritional management status and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People in psychologically frail type were more likely to be male, to live in big cities rather tha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less likely to smoke. Based on these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e multifaceted concept of frailty among Korean elderly people and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frail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선(Kim, Young-Sun),강은나(Kang, Eunna). (2018).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8 (4), 963-979

MLA

김영선(Kim, Young-Sun),강은나(Kang, Eunna). "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8.4(2018): 963-9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