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訓民正音」 制字解에 함유된 宋代 象數易과 朝鮮易

이용수 272

영문명
Song Dynasty s Xiang shu yi xu(宋代 象數易) and Joseon Dynastys I-ching( 朝鮮易 ) in the 『 Hunminjeongeum 』 Jejahae( 訓民正音 制字解) - Focusing on the 『huang ji jingshi shu』 (황극경세서), 『taiji tushuo』 (태극도설), and 『yi xue qimeng』 (역학계몽) -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조희영(Cho, Hie-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4집, 123~14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정음 해례편 제자해에 깔린 역학적 배경을 宋代 (圖書)象數易의 입장 - 소강절, 주렴계, 주희의 저서- 에서 관찰한 후 朝鮮易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자해를 관통하는 핵심의 하나는 宋易思想이다. 제자해는 소강절의 황극경세서에 나오는 圖說에 영향을 받았고, 특히 ‘聲[人聲]’으로 정음을 창제한 점이 그러하다. 제자해에 나오는 음양오행론은 주렴계의 태극도설과 주희의 이론에 기반을 둔 것이 많다. 이어 나오는 五聲, 五臟, 五常, 五時 등과 陰陽互根論도 비슷하다. 제자해는 주희의 역학계몽에 나오는 하도와 그에 대한 논설을 인용했고 이를 계사전의 천지지수와 결합하여 역리를 전개했다. 삼재사상으로 중성의 제자논리를 전개한 것과 제자해 뒷부분에 나오는 음양과 동정, 천지와 강유 등을 연결한 것은 송역과 계사전 및 설괘전의 영향이다. ‘성’과 ‘象[발음기관의 상, 천지인의 상]’을 제자의 소재로 택한 것은 ‘상수’로 성음의 이치를 파악하고 문자를 창제하려는 정음 관련자들의 상수학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다. 또 하나 제자해를 관통하는 핵심은 ‘사람중심’인 ‘人本主義 思想’이다. ‘사람중심’ 사상은 제자해 도처에서 확인된다. 정음은 ‘사람의 소리’를 기초로 창제되었고, 초성 17자를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중성은 삼재를 형상했으며, 이를 설명하면서 ‘사람의 중요함’을 강조한 부분 등이 그것이다. 제자해의 역학사상은 강절, 렴계, 주희 등 송역과 불가분의 관계이나 역학적 논리를 적용하는 양상에서 모종의 ‘조선역’을 엿볼 수 있다. 신유학이 채 여물지 않은 선초에 송역의 대표적 논설을 착종하듯 엮어서 창제된 정음과 그 속을 ‘사람중심’으로 채운 제자해에서 開物成務한 ‘조선역’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ets out to summarize the epochal background of the Jejahae(制字解), which was rooted in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and came to integrate the Joseon Dynasty s I-ching. One of the cores of the Jejahae is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The Jejahae was influenced by the paintings and theories that appeared in the 『huáng jí jīngshì shū』, particularly in relation to creation by “sound.” Another of the Jejahae’s cores is the “people-centered” idea. The principles of the Jejahae we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while the idea to apply the I-ching s logic to reality came from the Joseon Dynasty I-ch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was not influenced by Neo-Confucianism, the representative texts of Song were synthesized and 『Hunminjeongeum』 were made by the “sound of the people” and “shape”. The idea of making a letter with “the sound of a person” and “a shape” and filling it with a “people-centered” perspective reflects a Joseon influence on the translation of the Song Dynasty s Xiàng shù yì xué.

목차

1. 서론
2. 제자해에 나타난 강절역학 (황극경세서)
3. 제자해에 나타난 렴계역학 (태극도설)
4. 제자해에 나타난 주희역학 (역학계몽)
5. 결론 - 제자해에 담긴 ‘조선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영(Cho, Hie-Young). (2018).「訓民正音」 制字解에 함유된 宋代 象數易과 朝鮮易. 동방학지, 184 , 123-147

MLA

조희영(Cho, Hie-Young). "「訓民正音」 制字解에 함유된 宋代 象數易과 朝鮮易." 동방학지, 184.(2018): 123-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