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비투어의 과거와 현재

이용수 621

영문명
Studie zum historischen Rückblick auf das deutsche Abitur und zu dessen aktuellen Diskussionen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고원석(Koh Won Seok)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3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의 아비투어 제도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소개된 대부분의 관련 논문들은 현재 아비투어 제도의 형식과 규정을 연구한 논문들이다. 본 연구자는 아비투어 제도가 언제 어떤 동기로 시작되었고, 어떤 제도와 변화와 개선을 통해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독일 아비투어는 18세기 후반 대학 입학생들의 수학능력 부족의 문제를 인식하고 대학수학능력을 공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도입한 평가제도다. 19세기 초 훔볼트의 인문주의적 교육개혁에 힘입어 아비투어는 인문학적 소양을 고취시키기 위해 고전어 능력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19세기 후반 고전어 능력에 치우친 인문학적 소양기준에 문제를 제기하는 학교들이 등장했다. 오히려 대학수학능력의 기준으로 현대어 능력(레알김나지움)과 자연과학지식(오버레알슐레)의 중요성이 제기되어 아비투어 시험의 내용이 3가지 유형으로 분화되어 실시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에는 아비투어 폐지론까지 등장하면서 근본적인 개혁안을 요청하는 이들이 등장했다. 그 결과 아비투어의 시험과목이 4가지 유형으로 분화되었고, 시험과목은 유형에 상관없이 4과목으로 한정짓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서독은 1972년 개혁안을 통해 명실상부한 현대 아비투어 제도를 정착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독일통일 이후 13년 중등교육제체를 12년제로 축소하면서 13학년에 치렀던 아비투어를 12학년에 치르는 변화를 겪었다. 하지만 최근 대부분의 독일 주(州)정부는 12년학제(G8)와 13년학제(G9) 사이에서 많은 논쟁을 벌였고, 점차적으로 다시 13학년제로 환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독일 아비투어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우리는 대학수학능력에 대해 독일사회의 끊임없는 고민과 논쟁이 있었음을, 그리고 아비투어 제도는 여전히 변화와 진화의 몸부림을 거듭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deutschen Abiturprüfung aus historischer Hinsicht. Bei den meisten der vorigen Studien über das Abitur geht es um Formen und Regulierungen des gegenwärtigen Abitur-Systems. Anders als die vorigen fragt meine Arbeit, mit welchen bestimmten Motiven es initiiert wurde und wie es durch welche Veränderungen und Verbesserungen in die Gegenwart gekommen ist. Das deutsche Abitur gilt als Zeichen der Zugehörigkeit zum Kreis der Gebildeten. Es ist ein Evaluierungssystem, das im späten 18. Jahrhundert eingeführt wurde, um die Unzulänglichkeit der akademischen Fähigkeiten von Hochschulstudenten öffentlich zu verifizieren. Im frühen 19. Jahrhundert hatte das Abitur aufgrund seiner humanistischen Bildungsreform große Aufmerksamkeit auf seine Fähigkeit gelegt, seine klassische Sprachfähigkeiten zu verbessern. Aber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tauchten die Gymnasien auf, die Fragen zu humanistischen Bildungsstandards aufwarfen, die auf klassische Sprachfertigkeiten ausgerichtet waren. Vielmehr wurde die Bedeutung der modernen Sprachkenntnisse (Realgymnasium) und des naturwissenschaftlichen Wissens (Oberrealschule) als ein Standard der Hochschulfähigkeit im Hinblick auf Nützlichkeitprinzip erhoben. Von daher wurde die Formen des Abiturs in drei Typen unterteilt. In den Tagen der Weimarer Republik gab es also Leute, die nach seiner radikalen Reform verlangten und die sogar behaupteten, es abzuschaffen. Aber nach dem Zweiten Weltkrieg entschied sich Westdeutschland durch den Bonner Reformvorschlag: “Die Neugestaltung der gymnasialen Oberstufe” von 1972 für das gegenwärtige Abitur-System. Nach der deutschen Wiedervereinigung wurden jedoch 9 Jahre Sekundarschulbildung auf 8 Jahre verkürzt, und das Abitur, das in der 13. Klasse war, wurde in der 12. Klasse (G8) geändert. Aber in den meisten Bundesländern gibt es allmählich einen Schritt, um auf die G9 zu reduzieren. Durch einen historischen Rückblick auf das deutsche Abitur können wir festhalten, dass es in der deutschen Gesellschaft ständig Kontroversen und Reflexionen über die akademischen Menschbildung gibt und dass sich das Abitur-System immer noch verändert und sich weiter entwickelt.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면서
II. 아비투어의 과거와 현재
III.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원석(Koh Won Seok). (2018).아비투어의 과거와 현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3 (2), 1-19

MLA

고원석(Koh Won Seok). "아비투어의 과거와 현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3.2(2018):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