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전 재일조선인 문화운동의 발아와 전개

이용수 93

영문명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Pre-War Cultural Movements by Koreans in Japan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이승진(Lee, Seung-jin)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30輯, 57~8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전전 일본 공산주의의 흐름을 개괄하면서, 일본공산당과 재일조선인조직의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을 연대와 분화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 해방 공간의 일본과 재일조선인 문화운동 연구의 단서를 찾고, 전전과 전후를 관통하는 맥락 속에서 의미 규정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는 데 이 글의 목적이 소재한다. 1920년을 전후하여 일본에서 공산주의가 자리 잡을 수 있었던 배경은, 이 운동이 비로소 구체적인 형태로 사람들에게 실천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이었다. 1920년대에 일본 문화를 지배한 것은 거대 출판자본과 대중미디어가 만든 이미지와 그것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이었다. 사람들은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화려한 이미지에 열광하면서도, 그 안에 내포된 부조리에 신음하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에 빠져있었다. 1920년대 초 일본에서 발아한 공산주의는 이러한 현실을 개선시킬 대안으로 재빠르게 자리잡는다. 조직의 활동가들은 많은 논쟁을 거치면서 자연 발생적 저항 이념에서 벗어난 보다 조직적이고 적극적인 운동을 모색하는데, 그 실천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이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이었다. 1930년을 전후하여 일본이 전시체제를 강화하면서, 일본공산당을 향한 탄압이 가속화한다. 계급 해방에서 천황제 타도로 전선을 확대하며, 적극적인 운동을 전개했던 공산당의 도전은 결국 시대적 한계와 내부의 역량 부족을 타개하지 못한 채 막을 내리는데, 그 역사적 현장에 늘 함께 한 존재가 재일조선인이었다. 한편 1930년을 전후하여 재일조선인의 급속한 유입과 함께 재일조선인사회에 독자적인 담론 시장이 형성된다. 공산주의 계열 재일조선인조직은 민족해방과 계급해방의 우선순위를 둘러싼 일본공산당과 조선공산당의 온도 차이를 조율하면서, 때로는 양쪽의 입장을 조율하는 완충지대로서, 때로는 재일조선인사회의 독자적인 목소리를 반영하는 창구로서 기능한다. 재일조선인의 이러한 입장이 가장 선명하게 반영된 분야가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이었는데, 일본과 조선 양쪽에 속하면서도 어느 쪽과도 다른 재일조선인의 원초성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정치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mmarizes the flow of pre-war Japanese communism and examines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of the Japan Communist Party and organization of Koreans in Japan on two aspects of solidarity and divi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ues for the study of cultural movements by Japan and the society of Koreans residing in Japan in the post-war space of liberation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defining the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pre-war and post-war times. Communism was able to settle down in Japan around 1920 because this movement actually presented specific directions of practice to people. The Japanese culture in 1920s was dominated by the images formed by large publishing money and mass media and the desire to consume such images. While getting enthusiastic about the splendid images created by capitalism, people fell into the state of antimony suffering from irrationalities. Communism in Japan began in early 1920s and quickly settled down as an alternative to solve problems faced in the reality. Activists sought for a more organized and active movement that broke away from the idea of spontaneous resistance by going through various discussions.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as promoted as a part of this practice. As Japan reinforced its war basis around 1930, the oppression of the Japan Communist Party was accelerated. The Communist Party attempted to deploy an active movement by expanding the scope from the removal of social classes to the abolition of the emperor system, but it ended up being a failed attempt due to limitations of the period and the lack of internal capabilities. Koreans in Japan were always present at this historic site. On the one hand, an independent discourse is formed in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with the rapid inflow of Koreans around 1930. The communist organization of Koreans in Japan coordin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 Communist Party and Korea Communist Party in determining priorities of liberation of ethnic group and removal of social classes. This organization sometimes functioned as a buffer to arbitrate positions of the two sides and at other times functioned as a channel to express independent voices of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as the area that reflected such standpoint of Koreans in Japan most clearly. Since the organization be-longed to both Japan and Korea while showing originality of Koreans in Japan that differs from either country, a more precise study must be conducted on this topic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전전(戰前) 일본 공산주의의 태동과 사상논쟁
Ⅲ.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의 전개와 예술대중화논쟁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진(Lee, Seung-jin). (2018).전전 재일조선인 문화운동의 발아와 전개. 일본연구, 30 , 57-85

MLA

이승진(Lee, Seung-jin). "전전 재일조선인 문화운동의 발아와 전개." 일본연구, 30.(2018): 5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