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 여러 연령군에서의 위아래눈꺼풀 위치

이용수 2

영문명
Upper and Lower Eyelid Positions in Several Korean Age Group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숙연(Sukyeon Lee) 박진환(Jinhwan Park) 이장훈(Janghoon Lee) 나재훈(Jaehoon Na) 이 화(Hwa Lee) 백세현(Sehyun Baek)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9,number7, 606~612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한국인의 여러 연령군에 따른 위, 아래 눈꺼풀의 위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눈꺼풀 질환이나 눈꺼풀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술 등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들 중 전면부 안면 사진이 촬영된 38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촬영된 전면부 안면 사진을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눈꺼풀각막 반사간거리(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 외 아래눈꺼풀각막반사간거리(margin reflex distance 2, MRD2) 값을 측정하였으며, 20세 미만(유소년군), 20세 이상 40세 미만(청년군), 40세 이상 60세 미만(중년군), 60세 이상(노령군)의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연령군 및 성별에 따른 위, 아래 눈꺼풀 위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8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 연령 38.90 ± 22.79세, 남자가 200명(52.6%)이었다. 연령군별 평균 MRD1 (mm)은 0-20세 군(92명)이 2.94 ± 0.95, 20-40세 군(102명)이 3.23 ± 0.92, 40-60세 군(94명)이 3.33 ± 1.09, 60세 이상 군(92명)이 2.42 ± 1.03이었으며, 평균 MRD2 (mm)는 0-20세 군(92명)이 5.37 ± 0.68, 20-40세 군(102명)이 5.66 ± 0.58, 40-60세 군(94명)이 5.29 ± 0.80, 60세 이상 군(92명)이 4.45 ± 0.86이었다. 평균 MRD1은 40세 이상 60세 미만 군에서 최대, 60세 이상 군에서 최솟값을 보였으며, 평균 MRD2는 20세 이상 40세 미만 군에서 최대, 60세 이상 군에서 최소로 나타났다. 남, 여 평균 연령은 각각 38.73 ± 21.60, 39.1 ± 24.10세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 =0.875), 남, 여 MRD1은 각각 2.90 ± 1.07, 3.09 ± 1.03, MRD2는 각각 5.44 ± 0.68, 4.95 ± 0.96 mm로 MRD2의 경우 남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결과를 보였다(각각 p =0.077, p =0.000).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경우 60세 이상에서 유의한 MRD1과 MRD2의 감소가 있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유의한 MRD2의 감소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성공적인 노년 눈꺼풀수술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노년층에서의 MRD2 감소를 고려하여 위눈꺼풀수술 시 수술 양을 결정하는데 있어 눈꺼풀틈새 높이보다는 MRD1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술 후 과교정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haracterize differences in upper and lower eyelid positions among different Korean age groups. Methods: Digital photographs of 380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Patients who had no known eyelid disorders or pre-vious surgeries that could affect eyelid position were included. The 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 and marginal reflex dis-tance 2 (MRD2) were measured from photographs using Image J softwa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analysis: a child group, 0–20 years of age; a young adult group, 20–40 years of age; a middle age group, 40–60 years of age; and an eld-erly group, ≥60 years of age. Results: Total of 380 eyes from 380 patients were included. Mean age was 38.90 ± 22.79 years, and 200 (52.6%) were male. Mean MRD1s (mm) in each age group were: 0–20 years (n = 92), 2.94 ± 0.95; 20–40 years (n = 102), 3.23 ± 0.92; 40–60 years (n = 94), 3.33 ± 1.09; and ≥ 60 (n = 92), 2.42 ± 1.03. Mean MRD2s (mm) in each age group were: 0–20 years (n = 92), 5.37 ± 0.68; 20–40 years (n = 102), 5.66 ± 0.58; 40–60 years (n = 94), 5.29 ± 0.80; and ≥ 60 years (n = 92), 4.45 ± 0.86. The mean MRD1 was longest in the middle age group, and shortest in the elderly group. The mean MRD2 was longest in the young adult group, and shortest in the elderly group. The mean MRD1 (mm) was 2.90 ± 1.07 in males and 3.09 ± 1.03 in females. The mean MRD2 (mm) was 5.44 ± 0.68 in males and 4.95 ± 0.96 in femal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RD2 between the two sexes (p = 0.077, p=0.000, respectively). Conclusions: Significant decreases were observed in the MRD1 and MRD2 with Koreans aged ≥ 60 years. Notably, the de-crease in MRD2 in females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males. This could be important reference values for successful eyelid surgery,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The amount of surgical correction during upper lid surgery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RD1, in order to prevent overcorrec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연(Sukyeon Lee),박진환(Jinhwan Park),이장훈(Janghoon Lee),나재훈(Jaehoon Na),이 화(Hwa Lee),백세현(Sehyun Baek). (2018).한국인 여러 연령군에서의 위아래눈꺼풀 위치. 대한안과학회지, 59 (7), 606-612

MLA

이숙연(Sukyeon Lee),박진환(Jinhwan Park),이장훈(Janghoon Lee),나재훈(Jaehoon Na),이 화(Hwa Lee),백세현(Sehyun Baek). "한국인 여러 연령군에서의 위아래눈꺼풀 위치." 대한안과학회지, 59.7(2018): 606-6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