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회칙 「인간 생명」에 나타난 사랑의 일치와 생명에 대한 개방성

이용수 159

영문명
Openness to Life and Union of Love according to Humanae Vitae
발행기관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저자명
호세 그라나도스(Granados José )
간행물 정보
『인격주의 생명윤리』8권 2호, 5~4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부부사랑과, 생명전달에 대한 부부행위의 개방성이 서로 불가분으로 결합되어(inseparable connection) 있으며, 이 결합은 또 다른 두 가지 결합에 기초함을 논할 것이다. 그 두 가지란 ① 인격과 몸의 일치, ② 남편-아내, 부모-자녀의 일치이다. 이러한 논지로부터 다음이 따라온다. 만일 부부사랑과 생명에 대한 개방성의 결합이 깨지면, 인격과 몸의 일치, 그리고 가족 구성원 간의 일치가 깨진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고는 이러한 다양한 층위의 일치가 인간-창조주의 일치와 불가분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먼저, 성혁명의 결과로 우리가 체험하고 있는 성의 파편화(fragmentation of sexuality)의 한 가지 예를 생각해보자. 이것은 체코출신의 작가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의 유명한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이다. 주인공 토마스와 데레사는 성과 사랑을 이해하는 ‘가벼운’ 방식과 ‘무거운’ 방식을 대변한다. 토마스가 (성의 ‘가벼움’을 대변하는) 충동적인 바람둥이인 반면에, 데레사는 토마스와 유일하고 안정된 사랑을 갈망한다. 그녀가 토마스의 집으로 들어가면서 가져간 무거운 여행 가방이 바로 그러한 사랑의 상징이다. 흥미롭게도, 토마스와 데레사의 사랑이 불가능한 것은, 그들이 자신의 ‘몸’을 살아가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그럼,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들어보자. “데레사는 마치도 자신에게 이질적인 것처럼 자신의 몸을 바라보면서, 넋을 잃고 거울 앞에 섰다. 그 몸은 이질적이지만, 그 누구도 아닌 자신에게 주어진 몸인 것이다. 그녀는 그 몸을 보면서 역겨움을 느꼈다. 그 몸은 토마스의 삶에서 유일한 몸이 될 능력이 없었다. 그 몸은 그녀를 실망시켰고 기만했다.”1)데레사는 비록 자신의 몸이 수많은 여자들과 경쟁할 수 없어 사랑을 포기해야 하지만, 자신의 영혼은 유일한 방식으로 남편과 일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위안을 얻는다. 여기서 몸은 만남과 관계의 공간(space)이 되지 못한다. 몸이 계속 반복되는 성적 만남의 ‘가벼운’ 체험에 묶여 있는 토마스에게 말이다. 한편, 데레사의 경우, 몸은 토마스와의 유일한 만남을 매개하지 못한다. 이 점에서 우리는 쿤데라가 왜 톨스토이의 위대한 소설 󰡔안나 카레니나󰡕와 비견되는지를 알게 된다. 즉, 그것은 부부가 처해 있는 지속적인 협소함(narrowness)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연인들이 고립된 것은 사회가 그들을 배제하였기 때문인 반면에, 여기서는 [쿤데라의 소설] 그들의 몸이 실제적인 일치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무튼, 이 소설은 1960년대에 폭발한 ‘성을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이 점점 더 협소함을 맛보게 했음을 묘사해준다. 무한한 자유의 가능성을 약속하는 성적인 몸(sexual body)은, 사실 주체를 자신의 너머로 개방시켜 주는 관계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 예는 반포 50주년을 맞이한 회칙 「인간 생명」의 가르침을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이 회칙의 새로움은 성 문제를 몸의 의미(meanings of the body)라는 관점에서 접근한 데 있었다. 몸의 의미는 부부의 일치, 부모-자녀 일치와 같은, 주체를 자신의 너머로 개방시켜 주는 관계를 매개한다.(「인간 생명」, 12항 참조) 아래에서는 「인간 생명」과 몸의 언어의 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다. 먼저, ⑴ 현재의 상황에서 이 주제가 중요함을 확인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⑵ 성적인 몸이 어떻게 인격의 통합성에 핵심이 되는 관계의 언어를 말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다음으로 ⑶ 이 언어는 인간의 궁극적 기초를 창조주 안에서 가리킬 때 비로소 온전히 이해되고 살아질 수 있음을 밝힐 것이다. 끝으로, ⑷ 몸을 살아가는 이러한 방식이 피임(contraception)으로 어떻게 손상되는지, 반면에 정결의 덕의 맥락에서 자연 출산 조절법에 의해서는 그것이 어떻게 증진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영문 초록

I want to argue in this paper that there is an inseparable connection between conjugal love and openness of the conjugal act to the transmission of life, and that this connection is based on two other links: the unity between the person and his or her own body, and the unity between husband and wife, parents and children. From this thesis it follows that, were this connection between openness to life and conjugal love to be broken, then we would witness a fracture of the union between the person and his body and of the union between the different members of the family. Moreover, I want to show that all these different layers of unity are inseparably connected with the union between the human person and the Creator. Let me start with an example of the fragmentation of sexuality we are experiencing today as a consequence of the sexual revolution. The example is taken from the well-known novel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by the Czech writer Milan Kundera. The two main characters, Thomas and Teresa, represent, so to speak, a “light” and a “heavy” way of understanding love and sexuality. Whereas Tomas is a compulsive womanizer (representing the “lightness” of sexuality), Teresa aspires to a unique and stable love with Tomas, a love whose symbol is the heavy suitcase with which she moves into Tomas’ home. Interestingly, the impossibility of love between Tomas and Teresa is connected with a way of living out one’s own body. And so, we are told how “Teresa stood bewitched before the mirror, staring at her body as if it were alien to her, alien and yet assigned to her and no one else. She felt disgusted by it. It lacked the power to become the only body in Tomas’ life. It had disappointed and deceived her”.1) Teresa finds then consolation in the thought that her soul would be able to unite her in a unique way with her husband, even though her body, unable to compete with the body of hundreds of women, is doomed to abandon the realm of love. What we have is, then, that the body is unable to be a space of encounter and relationship. This is so for Tomas, inasmuch as the body is tied to “light” experiences of sexual encounters, that continuously repeat themselves. For Teresa, on the other hand, the body is unable to mediate a unique encounter with Tomas. At this point we can see why Kundera draws a parallel with Ana Karenina, Tolstoy s great novel, in order to emphasize the ongoing narrowness in which the spouses find themselves. Now, while in Ana Karenina lovers are isolated because society excludes them, here it seems that it is their own bodies tha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 real union. In sum, the novel serves as an illustration that the new way of living sex that exploded in the 1960s has fostered an increasing sensation of narrowness. The sexual body, which promised infinite possibilities of liberation, is in fact unable to create relationships that open the subject beyond themselves. This example helps us approach the teaching of Humanae Vitae, fifty years after its publication. Today we can say that the novelty of the encyclical consisted in approaching the question of sexua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meanings of the body, insofar as these meanings mediate relationships that open up the subject beyond themselves, such as the unity of the spouses and the un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f. Humanae Vitae [=HV] 12). In the following I want to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ae Vitae and the language of the body. First, I will confirm the importance of this issue in our current situation (1). I will then analyze how the sexual body speaks a language of relationships that is essential for the very integrity of the person (2). Next, I will show how this language can only be fully understood and lived out insofar as it points to the ultimate foundation of the human being in the Creator (3). Finally, I will focus on how this way of living the body is disfigured by the use of contraception, and

목차

Ⅰ. 성혁명, 「인간 생명」, 그리고 ‘몸의 언어’
Ⅱ. 몸의 언어와 가족 관계
Ⅲ. 몸의 언어와 창조주 하느님에 대한 신앙
Ⅳ. 몸의 언어, 피임, 그리고 정결의 덕
Ⅴ. 결론
Ⅰ. Sexual revolution, Humanae Vitae, and the “language of the body”
Ⅱ. Language of the body and family relationships
Ⅲ. Language of the body and faith in God the Creator
Ⅳ. The language of the body, contraception and the virtue of chastity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호세 그라나도스(Granados José,). (2018).회칙 「인간 생명」에 나타난 사랑의 일치와 생명에 대한 개방성. 인격주의 생명윤리, 8 (2), 5-44

MLA

호세 그라나도스(Granados José,). "회칙 「인간 생명」에 나타난 사랑의 일치와 생명에 대한 개방성." 인격주의 생명윤리, 8.2(2018): 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