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터 환경이 저소득 근로자의 스트레스,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수면 시간에 이르는 경로

이용수 518

영문명
A Path Analytic Study of Physical Work Environment, Stres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ing Hours Among Workers in Low-Income Househol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정은희(Eun-Hee Jung) 여혜수(Hye-Su Yeo) 채철균(Choul-Gyun Chai)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57권, 57~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의 물리적 환경이 저소득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스트레스가 이를 매개하는 과정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일터의 물리적 환경조사가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4기(2007-2009)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균등화 중위소득 2/3 이하 저소득 가구의 근로자 531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저소득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도 낮고 수면시간도 적었다. 둘째, 일터의 유해 작업환경이 저소득 근로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이르는 경로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즉 일터의 유해 작업환경 요인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스트레스가 높고,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저소득 근로자가 근무하는 일터의 물리적 환경과 유해 작업환경 요인은 근무지를 벗어난 일상의 건강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개선방안과 지원정책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ing hours of workers in low-income household, and examined the process of stress mediation effect. The data was used from the 4th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2007-2009)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tal 531 workers were selected under 2/3 of medium household income level were selected to analyse a path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were followed : First, the lower satisf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was related the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he less sleeping hours. Next, there was mediation effect on the process from the environmental hazard factors in the workplace to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low-wage workers.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hazard factors of the workplace increased the perception of stress in workers and lowere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and practices to improve the poor physical environment in workplace and strategies to cope with the workers’ stress especially for workers of low-income household given that the impact of physical work environment and hazard factors can continue to the workers’daily lif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희(Eun-Hee Jung),여혜수(Hye-Su Yeo),채철균(Choul-Gyun Chai). (2018).일터 환경이 저소득 근로자의 스트레스,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수면 시간에 이르는 경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7 , 57-80

MLA

정은희(Eun-Hee Jung),여혜수(Hye-Su Yeo),채철균(Choul-Gyun Chai). "일터 환경이 저소득 근로자의 스트레스,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수면 시간에 이르는 경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7.(2018): 5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