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여성의 직장유형과 돌봄체계유형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0

영문명
A study on the additional maternity intent according to married career women s care system types
발행기관
사회복지정책실천회
저자명
이춘화(Choon Wha Lee) 박경일(Kyung Ill Park)
간행물 정보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사회복지정책과 실천 3권 2호, 5~3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유형을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으로 구분하여 돌봄체계유형에 따라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일ㆍ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ㆍ복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장기혼여성은 중소도시 거주지역과 공적탈가족화 돌봄유형이 추가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유형별 분석에서는 중소도시 민간기관 근무여성이 공공기관 근무자보다 공적탈가족화와 공적가족화의 돌봄유형에서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직장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은 거주지역, 직장유형, 돌봄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그 이유는 지역의 특성과 근무환경과 개인적 상황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먼저, 거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돌봄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다음은 공적지원의 탈가족화 및 가족화 돌봄형태가 출산율 제고 및 가족복지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로 있다는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적지원을 통한 돌봄유형이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필요하다는 것과 추가출산 제고 가능성이 기관의 근무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 특히 돌봄지원의 제도적 접근이 공공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기관의 공적가족화 돌봄유형의 확대가 추가출산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녀돌봄 지원정책 방향을 얼마나 확대할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는 정책과 제도적 방향 설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additional maternity intent according to married career women s care system types. It conduc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015 nationwide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urvey . As a result, the additional maternity intent of married career women who lived in a small-middle sized city was significant for the types of public de-familialization and public familialization care system. Besides, women working in private organization living in a smallmiddle sized city had a higher impact on the additional maternity intent than those working in public organization and public familialization car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should be implemented discriminately in order to se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are system for job-family compatibility and increase fertility rate. It is also important to fully support the differential maternity policy that fits the working condition of career women and the care plan which may help maternity plan and additional maternity intent. Finally, it requires ensuring parents freedom of choice in selecting such care ty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licy support design with focusing on how to approach rather than expanding the direction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춘화(Choon Wha Lee),박경일(Kyung Ill Park). (2017).기혼여성의 직장유형과 돌봄체계유형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3 (2), 5-33

MLA

이춘화(Choon Wha Lee),박경일(Kyung Ill Park). "기혼여성의 직장유형과 돌봄체계유형이 추가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3.2(2017): 5-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