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1)

이용수 66

영문명
Pädagogische Bedeutung der ikonischen Wende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영근(Young kun Tscho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5권 제3호, 175~19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상적 전환’(iconic turn)이라는 문화과학에서의 패러다임 변동이 인간의 인식과 교육에 주는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전환이 교육학에 주는 영향과 시사점을 고찰하기 위해 ‘언어학적 전환’에서 ‘그림 및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이 넘어가게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그림 인간학적 관점의 형성이 교육과 교육학에 주는 의미를 파악하며, 이와 같은 전환의 연속적 과정에서 교육학적 지식과 교육학의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세부내용으로는 먼저 ‘도상적 전환’으로의 패러다임 이동이 발생하게 된 학문사적 배경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장했던 철학과 미술사학 분야의 주창자들의 관점과 문제제기를 통해 살펴본다. 그 다음에는 그림과 영상의 인간학적 차원을 파악하려 시도했던 Belting의 독특한 관점을 설명하면서 그것이 교육학적 사유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를 해석하는 부분에서는 독일의 경우 이러한 전환이 교육학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내용화되는지 언급하고, 또 ‘도상적 전환’에 따른 지식의 관점 변화를 소개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교육학이 영상과 문자 텍스트 사이에서 어떠한 인식관심과 실질적 대처를 해나가야 할지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Die Bedeutung von Bildlichkeit für Erkenntnisfragen hat in den 1990er Jahren in den Geisteswissenschaften zu einer ikonischen Wendung bzw. zum ‘pictorial turn’ oder ‘iconic turn’ geführt. Die ikonische Wendung steht in kritischer Abgrenzung zum ‘linguistic turn’ von R. Rorty und damit zu sprachanalytischen, philosophischen und linguistischen Positionen, die jede Form der Erkenntnis als Problem der Sprache darstellen. Seitdem gewannen Bilder neben Repräsentationen von Wirklichkeit in Form von Texten als Quelle von Erkenntnis zunehmend an Beachtung, so auch in jüngerer Zeit in den Sozial- und Erziehungswissenschaften. Für Boehm ist das Kunstbild als jenes Bild zu betrachten, das seiner Genesis wie seiner Geltung nach diese Erkenntnisfunktion geradezu verkörpert. Aber Belting betrachtet das Bild aus anthropologischer Perspektive. Während Boehm die Arbeit am Bild vordringlich unter dem Aspekt des Bildes als Medium der Erkenntnis und der Reflexion auf Wahrnehmung betrachtet, sieht Belting den Hauptweg dieser Arbeit in einer anthropologisch orientierten Wissenschaft, die sich als Sach- und Kulturkunde des Bildes versteht. Inwieweit ein ‘iconic turn’ zu einer Vertiefung der Bildung des Menschen beiträgt, lässt sich aus der Praxis noch nicht beantworten. Es gibt aber durchaus trifftge Gründe, warum das Bild bzw. Bilderwelten in den Fokus der pädagogischen Diskussion rücken. In dieser Abhandlung wird versucht, die ikonische Wendung aus pädagogischer Perspektive zu interpretieren.

목차

Ⅰ. 뉴미디어시대 - 언어 - 그림
Ⅱ. ‘언어학적 전환’에서 ‘도상적 전환’으로
Ⅲ. 그림의 인간학적 관점
Ⅳ.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
Ⅴ. 결론: 문자와 그림을 포괄하는 교육학적 사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근(Young kun Tschong). (2010).‘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1).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 (3), 175-192

MLA

정영근(Young kun Tschong). "‘도상적 전환’의 교육학적 의미*1)."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3(2010): 175-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