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사회적 요구와 개별성 함양 사이의 학교교육

이용수 206

영문명
Schulerziehung zwischen gesellschaftlicher Forderung und Individualitätsbildung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영근(Tschong, Youngkun)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8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학교는 국민국가의 형성과정에서 민족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사회를 통합하며 국가와 사회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는 학교교육이 사회와 국가의 요구를 중심으로 조직되고 운영되도록 하였으며 그러한 성향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학교교육의 사회 및 개별성 중심적 경향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사회적 존재인 인간의 교육에서는 두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밝힌 뒤, 한국의 학교교육에서 나타나는 사회 및 국가 중심적 교육현실의 문제를 조명한다. 그 다음 한국 학교교육에서 이러한 경향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두 관점에서 탐색한다. 첫째, 한국 교육문화의 역 사적 형성과정을 고찰하여 조선 이후의 유교적 세계관에 따른 교육에서 나타난 명목상의 숭문주의와 실질적 측면의 입신양명주의 사이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둘째, 광복 이후 학교교육의 재정립에서 일방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지금까지 한국 교육학에 지배력을 행사하는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철학에 내재된 사회 중심적 경향성 및 그것이 학교교육에 준 영향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의 학교교육이 전인교육의 관점에서 개인과 사회의 조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제들이 제시된다.

영문 초록

Schule ist seit jeher aus pragmatischen Motiven gegründet worden. Dementsprechend hat sie anliegende gesellschftliche und staatliche Aufgabe zu erfüllen und demzufolge den Menschen unter dem Gesichtspunkt seiner gesellschaftlichen Funktionen erscheinen zu lassen. Aus diesem Schulverständnis wird die Schule in den Dienst der Gesellschaft, des Staates und der Religion gestellt sowie inhaltlich und methodisch an deren Maßgaben und Zielen ausgerichtet. Die Pädagogik als Theorie einer umfassenden Bildung des Menschen hat in diesem Denken keinen Raum. Die Schulerziehung in Korea, die seit der Li-Dynastie traditionell als einen Durchgang für den gesellschaftlichen Aufstieg verstanden worden ist, neigt sich heutzutage immer mehr gesellschafts- und staatsorientiert hin. In dieser Abhandlung wird versucht, die Hintergründe und die Ursachen gesellschaftsorientierter Tendenz der koreanischen Schulbidung aus den kulturhistorischen und erziehungstheoretischen Gesichtspunkten herauszufinden und zu erklaren. Für diesen Zweck wird zuerst die geschichtlichen Spuren der koreanischen Schulbildung verfolgt, die unter der konfuzianistischen Weltansicht steht. Danach wird der Einfluss der pragmatischen Erziehungsphilosophie Deweys in Bezug auf die gesellschaftsorientierte Tendenz der Schulerziehung analysiert, die seit der Befreiung Koreas von der japanischen Kolonialmacht das Ideal und die Theorie koreanischer Schulbildung erobert hat. Am Ende der Abhandlung wird erläutert, dass die theoretische Konzeption der Pädagogik Deweys und ihren Einfluss auf die Neuorientierung der Schulbildung in Korea kritisch analysiert werden müssen.

목차

Ⅰ. 들어서며
Ⅱ. 학교교육의 두 측면
Ⅲ. 한국 학교교육의 국가 및 사회 중심적 성격
Ⅳ. 사회 중심적 학교교육의 역사·문화적 고찰
Ⅴ. 듀이와 한국 학교교육의 사회 중심적 성격
Ⅵ. 나오며: 학교교육의 사회 편향성 문제와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근(Tschong, Youngkun). (2013).국가·사회적 요구와 개별성 함양 사이의 학교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 (1), 1-16

MLA

정영근(Tschong, Youngkun). "국가·사회적 요구와 개별성 함양 사이의 학교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1(2013):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