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omo digitalis와 스마트교육

이용수 119

영문명
Homo digitalis und der Smart-education-Plan in Korea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영근(Tschong, Youngkun)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0권 제3호, 145~16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술 혁신에 따른 사회·문화적 삶의 변화는 이제 기술 활용 수준을 넘어 인간의 사고방식은 물론 존재 자체까지 새롭게 규정해간다. 학교를 비롯한 사회 전역에서 생활방식 및 교육의 조건과 방법 또한 스마트 기술과 기기의 특성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교육에서 장점이자 특징은 학습의 시·공간을 확장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교육역량을 극대화한다는 점이며 이를 지원하는 실체는 시각적 하이퍼텍스트와 디지털 이미지자료 및 매체기술이다. 이에 의존하는 학교교육의 디지털화는 매체활용기술 측면에서 신속·간편함과 효용성을 제공하지만, 교육내용과 운영시스템 자체를 기술개발시장에 점점 더 의존케 한다는 문제를 지녔다. 직접경험이 최소화된 학습활동이 증가하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전인적 상호작용도 제한되는 단점이 나타난다. 교육학적 관점의 ‘스마트한’ 인간은 이와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 모두가 학습조건 자체나 자기 자신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배양하지 않는 한 스마트한 인간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교육은 학생을 주어진 상황에서 ‘주체적으로 사고·판단을 하는 디지털 주민’으로 성장시켜 새로운 기술문명시대에 좀 더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디지털 세대에게 필요한 교육은 결국 ‘디지털시대의 지혜로운 인간(homo sapiens digitalis)’을 목표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스마트교육 정책, 디지털 기술 기반 교육환경의 속성과 인간의 관계, 스마트교육의 이미지 인간학적 전제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에 지나치게 의존하려는 스마트교육의 문제점을 교육인간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영문 초록

Die Digitalisierung von Wirtschaft und Gesellschaft schreitet unaufhaltsam voran. Computer und Internet sind längst selbstverständlicher Bestandteil des Alltags und Berufslebens. Immer stärker nutzen auch die Schulen die Möglichkeiten, die ihnen die Digitalisierung bietet. Digitale Medien halten systematisch Einzug in die Lehre, wo sie Lehrund Lernprozesse auf vielfache Art und Weise unterstützen, aber auch grundlegend verändern können. Wir gewinnen durch das Internet Fähigkeiten hinzu, Informationen und Daten rasch aufzufassen. Das Problem ist die Balance von verschiedenen Fähigkeiten. Im Bezug auf diesen Prozess der Digitalisierung ist es auch in Korea von der Smart-Education die Rede, die uns eine neue Wissensvermittlung verspricht, wodurch Schüler selbstgesteuert, motiviert, adaptiv, ressourcenreich und unter Einbeziehung modernster Techniken lernen sollen. Es erhebt sich aber die Frage, ob Korea mit der flächendeckenden, ersatzlosen Einführung der digitalen Schulbücher den richtigen Weg einschlägt. Kritiker der Digitalisierung der Schülbücher sorgen sich zunehmend um den negativen Effekt, den das digitale Lernen auf Kinder hat, obwohl Befürworter nicht müde werden, die Vorteile aufzuzählen. Eine wachsende Masse an wissenschaftlichen Studien bestätigt die These, dass das Netz uns durch konstante Ablenkungen, Unterbrechungen und Reizüberflutungen zu intellektueller Oberflächlichkeit verführt. Nach Spitzer verändern die digitalen Medien nicht nur unser Leben, sondern sie bringen uns und unsere Kinder regelrecht um den Verstand, und befördern einen Prozess des geistigen Abstiegs. Wenn durch starke Internetnutzung das Gerhirn die Fähigkeit zum tiefen Lesen verliert, besteht laut Carr auch die Gefahr, dass kritisches Denken und Kreativität verloren gehen könnten. Der ständige Wechsel von Tätigkeiten führt dazu, weniger in der Lage zu sein, lineare und offene Reflexionsprozesse zu verfolgen. In dieser Abhandlung wird die Problematik der koreanischen Smart-Education-Konzeption aus der Perspektive der Bild- und pädagogischen Anthropologie kritisiert, und werden einige Voraussetzungen für die Digitalisierung der Schulbildung erörtert.

목차

Ⅰ. 교육 디지털시대의 스마트한 기술문명
Ⅱ. 한국의 스마트교육 기획
Ⅲ. 스마트교육의 기술적 속성과 인간
Ⅳ. 교육·이미지 인간학적 관점의 스마트교육
Ⅴ.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비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근(Tschong, Youngkun). (2015).Homo digitalis와 스마트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 (3), 145-165

MLA

정영근(Tschong, Youngkun). "Homo digitalis와 스마트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3(2015): 14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