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과 교육적 관계에 대한 소고

이용수 221

영문명
System-theory by Niklas Luhmann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우정길(Woo, Jeong-Gil)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0권 제3호, 99~11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Luhmann의 체계이론의 교육학적 수용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Luhmann의 체계이론이 표방하는 인간학적 전제의 검토, 그리고 교육적 관계의 성격 규명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시도가 현대 교육학에 시사하는 의미의 검토 등이 본고가 목적하는 바이다. 이를 위해 제 II장에서는 체계존재론, 체계존재의 양상, 체계관계론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Luhmann의 체계이론이 표방하는 ‘체계’의 구조와 체계관계론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른바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론의 양상과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첫째, 체계이론은 교육의 전통적 주체인 인간을 자기준거성과 폐쇄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계로 대체하였다.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는 ‘주체 - 객체’나 ‘주체 - 주체’가 아니라 ‘주체 - 구성된 주체’의 관계이다. 둘째, 그 결과로 교육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아닌 체계와 체계의 관계로 규정되었고, 체계이론적 교육관계는 기계적 자기중심성을 그 특징으로 삼게 되었다. 셋째, 이러한 체계의 자기중심성은 교육적 지향성과 인과성의 실현이라는 교육의 전통적 개념과 양립하기 어려우며, 넷째, 아울러 교육적 관계의 참여가 사이의 공동의 이해와 인 식 그리고 가치의 공유 등은 교육적 관계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되었다. 다섯째, 체계이론의 교육학적 수용의 위와 같은 난점과 아울러 이중의 우연성 개념을 통해 전통적 교육학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우연적 발생 또는 교수학습의 비인과적 결과 등에 대한 해명의 실마리를 체계이론이 제공한다는 점은 분명 체계이론의 기여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pedagogical reception of System-theory by Niklas Luhmann. Specifically, in terms of pedagogical relationship, it deals with the anthropological premise of System-theory,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system-theoretical pedagogical relationship and its implication as well as challenges for the contemporary pedagogy. For this purpose we firstly investigated the System-theory with three questions: who does exist? How does it exist? And in what kind of relationship do the Systems stand to each other? The pedagogical implication and challenge of the System-theory induced through these inquir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 According to the System-theory, the subject of traditional pedagogy or even human being as a major anthropological premise should be replaced by the concept of system which is marked with self-referentiality and operational closedness. B) As a consequence of it, system-theoretical educational relationship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n but as one between system and system is characterized with mechanical closedness and self-centeredness. In this sense, educational relationship from a System-theoretical perspective can be characterized not as ‘subject - object’ or ’subject - subject’, but as ’subject -constructed subject’. C) The concept of System as such is not compatible with the traditional pedagogy which is built on the principle of pedagogical intentionality and causuality. D) Comm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s well as sharing of value between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not possible. E) In spite of all these limitations, contingency or non-causal occurrence as an embeded phenomenon of educational activity and educational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roblem in the traditional pedagogy, can be partly brought to an explanation.

목차

Ⅰ. 도입
Ⅱ. 체계의 체계성
Ⅲ. 체계와 교육학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정길(Woo, Jeong-Gil). (2015).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과 교육적 관계에 대한 소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 (3), 99-119

MLA

우정길(Woo, Jeong-Gil). "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과 교육적 관계에 대한 소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3(2015): 99-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