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용수 101

영문명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with Negatively Worded Items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이영훈(Lee Younghun) 김성수(Kim Sung soo)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0권 제2호, 29~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0.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검사에서 응답자의 반응편파를 줄이기 위해 빈번히 사용하는 부정문항을 포함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정된 측정도구는 자기통제(self-control)를 측정하기 위해 Kendall과 Wilcox(1979)에 의해 개발되고 송원영(1998)이 수정한 척도였다. 이 척도에는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이 각각 12문항과 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인천광역시 소재 중ㆍ고등학생 972명(남자 474명, 여자 498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 우선, 신뢰도 면에서 첫째,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의 기술 통계치를 비교 검토한 결과 이 둘은 평균, 편포도 벚 첨도에서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 간 상호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긍정문항은 긍정문항끼리 부정문항은 부정문항끼리 상관이 높았으나 긍정문항과 부정문항간에는 낮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긍정문항 혹은 부정문항만으로 산출한 신뢰도 보다 둘을 합쳤을 경우가 오히려 신뢰도가 낮았다. 한편, 타당도 면에서는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긍정문항과 부정문항이 각각 서로 다른 요인에 부하됨으로써 이 둘은 서로 다른 특성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결과 긍정문항은 준거변인으로 삼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지 못했으나 부정문항은 유의미하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부정 문항이 척도에 포함될 경우 신뢰도와 타당도를 낮출 수 있어 문제가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라한 결과를 토대로 심리척도에서 부정문항의 올바른 사용과 부정문항이라는 것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 지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a well-known idea among test developers that it is advisable to mix positively and negatively worded items in psychological scales to reduce response bia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stud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item reversals. This study aimed to revie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psychological scale which contain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The target scale was Korean version of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developed by Kendall & Wilcox(1979). This scale composed of 12 positive and 9 negative items with 4 response alternatives. Data collected from 972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in Inchon City. The result showed : 1)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mean, skewness, and kurtosis between item wording conditions. 2) The items worded in a same dire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ositively and negatively worded items were negative or near 0.0. 3) Comparing to positive items only,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low when positive and negative wordings were mixed. 4) Positive and negative items loaded on different factors. 5) Positively worded items explained significantly the variance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but not did negative items. From the findings above, sever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해석
IV.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훈(Lee Younghun),김성수(Kim Sung soo). (2005).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 (2), 29-51

MLA

이영훈(Lee Younghun),김성수(Kim Sung soo). "부정 진술문을 포함한 자기통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2(2005): 2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