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re Sedimentary Facies and Tephra Layers at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of Korea

이용수 1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Byoung Kwan Lee Hi Il Yi Seok 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2009년 공동학술대회 발표집, 121~12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5.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동해 울릉분지 해역에서 채취한 4개의 코아(P1~P4)를 분석하여 입도변화와 퇴적상 그리고 화산재 연대지시자를 연구하였다. 그 중 2개의 코아(P1과 P2)는 울릉분지 북동쪽 분지 수심 깊은 곳(약 2,000 m 수심 및 2,000 m 이상)에서 채취되었고, 나머지 2개의 코아(P3와 P4)는 수심 약 1,700 m 인 한국측 대륙사면(P3)과 수심 약 1,500 m인 울릉분지 남쪽 대륙사면(P4)에서 채취된 것이다. 4개의 퇴적상과 8개의 세부 퇴적상이 나뉘어졌다. 4개의 퇴적상은 괴상모래, 생물교란니, 균질니, 층리니이다. 8개의 세부 퇴적상은 부석질 괴상모래, 스코리아 괴상모래, 일반 생물교란니, pyrite 필름화된 생물교란니, 뚜렷한 층리니, 희미한 층리니, 박층리니, 균질니이다. 균질니 퇴적상은 한국측 연안쪽에서 채취된 코아 P3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나머지 3개의 코아는 4개의 퇴적상이 모두 관찰되었다. 4개의 퇴적상은 한국측 대륙사면에서 채취된 P3코아를 제외하면 모두 관찰되었다. P3코아는 균질니 (homogeneous mud) 이외 괴상모래, 생물교란니와 층리니 3개의 퇴적상만이 관찰되었다. 괴상모래(massive sand)는 모두 화산재인 테프라층이다. 입도분석을 보면, 괴상모래 퇴적상인 조립질의 화산쇄설층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퇴적상에서 모든 코어 퇴적층에서는 평균입도가 6~10 phi로 구성된다. 울릉분지 코아퇴적층 하부(P1과 P2코아)는 thinly laminated mud가 우세하며, 대륙사면 코아퇴적층 전체가 indistinctly laminated mud로 구성되어 있다. 코아에서 테프라층은 대륙사면 측 코아퇴적층보다 울릉분지 중앙 코아퇴적층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는 화산폭발지의 거리와 퇴적물유입량과 관계된다. 즉 대륙사면의 코아는 퇴적물의 유입으로 테프라층 낙하ㆍ퇴적 시 희석되기 때문이다. 또한 울릉분지 중앙 퇴적코아는 화산폭발지인 울릉도와 가까이 위치한다. 코아퇴적층에서 테프라가 발견되는 위치는 다음과 같다. 그 위치는 P1코아는 약 50 cm, 약 110~130 cm, 약 220 cm, 약 280 cm의 4군데에서 발견되고, P2 코아는 약 60~110 cm, P3 코아는 약 240~250 cm, 그리고 P4는 P4코아에서 약 250~265 cm 발견된다. 약 9300년 전에 폭발한 울릉-오키 테프라층은 P1은 110~130 cm 코아층, P2는 60~110 cm 코아층 P3는 240~260 cm 코아층 그리고 P4는 약 250~265 cm의 코아층에서 발견되었다. 여기서 울릉-오키 테프라층의 위치는 울릉분지에서는 코아상부에서 대륙사면 코아에서는 하부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대륙사면은 울릉-오키 테프라층이 쌓인 이후 퇴적물의 유입량이 높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울릉-오키 테프라층의 입도 최빈값은 울릉분지 중앙부 코아는 복모드 최빈값이며, 대륙사면 코아는 코아하부에서 복모드 최빈값이 발견되다가 상부로 가면서 단모드 최빈값으로 바뀌었다. 울릉-오키 테프라층의 복모드 최빈값은 테프라 입자들이 다양한 크기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대륙사면 코아중 단모드 최빈값을 보이는 테프라층은 대륙주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유입량으로 인하여 테프라 입자들이 낙하퇴적될 시기에 퇴적물의 유입이 계속 꾸준히 들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We Studied on the gram size change, sedimentary facies and age indicator of volcanic tephra to analysis of four cores (P1~P4) at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of Korea. The two cores (P1 and P2) were collected in the northeastern side of the Ulleung Basin (about 2,000 m in water depth), while the other two cores (P3 and P4) with the water depth of about 1,500 m and 1,700 m, respectively, were collected from the continental slope of the southwestern and western side of the Ulleung Basin. Four sedimentary facies and seven sedimentary subfacies were identified. The four facies were massive sand, bioturbated mud, homogeneous mud, and laminated mud. The eight subfacies were further divided as pumiceous ash massive sand, scorieaous massive sand, plain bioturbated mud, pyrite filamented bioturbated mud, distinctly laminated mud, indistinctly laminated mud, thinly laminated mud and homogeneous mud. The homogeneous mud was not found in the core of P3 which is located in the western side of Ulleung Basin (close to the Korean coast). The other three cores were all found for the four sedimentary facies. Massive sand was all volcanic tephra materials. Mean grain size ranging from 6 to 10 phi (silt to clay size) were distributed in all four core sequences except volcanic tephra layers (which are called here the massive sand facies). In the case of laminated mud facies, the thinly laminated mud facies was dominated in the lower part of core sequecnes of the Ulleung Basin (P1 and P2), while the indistinctly laminated mud were overally distributed in the core s e quences from the continental slope of Ulleung Basin. The tephra layers from the core sequences of central Ulleung Basin were more dominated and distinctive than those from the co re sequences of continental slope. This is related to th e distance from the volcanic source and the amount of sediment supply. The depth locations of tephra layers in the cores are as follows. They are about 50 cm, about 110~130 cm, about 220 cm, and about 280 cm in the P1 core, about 60~110 cm in the P2 core, about 240~250 cm in the P3 core, about 250~265 cm in the P4 core. The Ulleung-Oki volcanic tephra layers which was erupted about 9,300 yrs BP were identified from about 110~130 cm of P1 core, about 60~110 cm of P2 core, about 240~260 cm of P3 core and about 250~265 cm of P4 core. Here, the core locations of Ulleung-Oki tephra layers in the central Ullueng Basin were in the upper part of core sequences, while those in the continental slope were m the lower part of core sequences. This is indicated that the amounts of sediment supply in the continental slope after the Ulleung-Oki eruption were very high. The mod e of grain size from the Ulleung-Oki tephra layers s hows that the biomodal pattern m the central Ulleung Basin, while the change from the biomodal pattern in th e base and lower part of Ulleung-Oki tephra layers to the unimodal pattern in the upper part of Ulleung-Oki tephra layer was identified in the continental slope. The m o dal changes of Ulleung-Oki tephra layers in the continental slope were probably the results of dilution phenomena due to continuous sediment supply from the continental margins.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지역
연구방법
결과 및 토의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Byoung Kwan Lee,Hi Il Yi,Seok Yun Kim. (2009).Core Sedimentary Facies and Tephra Layers at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of Korea.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09 (2), 121-129

MLA

Byoung Kwan Lee,Hi Il Yi,Seok Yun Kim. "Core Sedimentary Facies and Tephra Layers at the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of Korea."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09.2(2009): 12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