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백제시대 수혈유구 용도에 관한 검토

이용수 185

영문명
Study of the uses of Pit Dwelling Sites of the Baekjae Period in the Hoseo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류미나(Ryu Mi Na)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55輯, 231~26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혈유구는 특별한 재료 없이 조성할 수 있다는 축조의 용이성과 지하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있어, 공간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구덩이로 긴 시간동안 다양하게 사용되었을 것이다. 최근 호서지역을 중심으로 백제시대 수혈유구가 대규모로 조성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므로종합적인 자료의 검토와 정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고는 호서지역 내에서 확인되고 있는 백제시대 수혈유구의 조사사례 현황을 살피고, 수혈유구의 분포와 입지, 유적 내 공간배치양상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수혈유구의 존재양상 및용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혈유구는 대체적으로 금강수계를 따라서 확인되고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있는 평지성 구릉지대에 입지하고 있다. 또한 유적 내 공간배치양상을 살펴보면, 수혈유구만이 단독적으로 조성되기보다는 관방시설이라던가 주거지와 공반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생활유구라고 할 수 있는 건물지나 주거지와 공반되는 경우에는 공주와 논산일대가 주목된다. 이 일대는 하천이 있고 주변으로 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어 생산경지가 발달된 점을 바탕으로저장의 용도로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산지성 구릉에 입지하며 성의 내부가 아닌 성의 외부에 대규모로 수혈유구가 분포하는 경우 저장의 용도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겠지만, 관방시설의 성격을 바탕으로 군사들의임시적인 거처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부 유적들의 사례를 살펴 주거, 함정 및 방어시설, 의례 용도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수혈유구는 취락을 이루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공반되는 유구와의 공간배치 및 존재양상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 Pit Features is a pit with multiple uses that cannot be defined as a single function, which is easy to build without special materials and has a certain space underground, instead of the ground, so it has a merit that it secures spatial stability. Thus, it is judged that it has been used as various functions for a long time. Recently, since there have been sharply increasing cases of large scale Pit Features mainly in the Hoseo region, the need to review and organize comprehensive data is brought up. Thu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tatus of cases of surveys on the Pit Features of the Baekjae Period identified in the Hoseo region and focus on conducting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the Pit Features and the space layout patterns in the remains.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functions of the Pit Feat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Pit Features identified in the Hoseo region are usually found along the Geum River Basin, which are usually located in flatland hilly districts along a river. In addition, as for space layout patterns in the remains, it is found that rather than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the Pit Features, the pattern is found, in which it is associated with a defense facility or residence. Usually, pit dwelling sites are often associated with building or residence, which are living sites, and especially, in the Hoseo region, the Gongju and Nonsan areas are highlighted. As for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s of these areas, there is a river, and a wide plain area spreads by that, so based on the fact that a farmland of production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it is very likely that a large-scale Pit Features has also been used as the function of storage. In the meantime, most of them are located in a mountainous hill, and as a defense facility and a Pit Features are found together, the Pit Features distributed outside of a mountain fortress, instead of the inside was considered a military function, like the temporary residence of the military personnel based on the character of a defense facility, rather than the purpose of storage. Lastly, this study examined some remains for other possible functions such as housing, trap and defense facility and ceremony and presented the possibilities. Consequently, it is judged that a Pit Features was not a pit used for a single function, but constantly functioned as one element constituting the settlemen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호서지역 조사사례 현황
Ⅲ. 수혈유구의 분석
Ⅳ. 수혈유구의 존재양상과 그 용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미나(Ryu Mi Na). (2018).호서지역 백제시대 수혈유구 용도에 관한 검토. 선사와 고대, 55 , 231-261

MLA

류미나(Ryu Mi Na). "호서지역 백제시대 수혈유구 용도에 관한 검토." 선사와 고대, 55.(2018): 231-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