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강삼매경론』의 一心二門 고찰

이용수 331

영문명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저자명
김영미
간행물 정보
『불교문화연구』제17집,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대승기신론』과 같은 일심이문의 틀과 체계를 설명한다. 『경론』의 일심이문은 『기신론』과는 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기신론』에서 진여문은 진제이고 생멸문은 속제이다. 『경론』에서 원효는 진여문에 진제를 상정하고 생멸문에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를 상정한다. 『경론』의 생멸문은 『기신론』의 생멸문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다. 원효가 뜻하는 생멸문은 중생들의 분별이 아닌 선정에 머문 교화행을 의미하여, 생멸문을 속제가 아닌 속제중도와 진제중도라고 상정한다. 『기신론』에서 진여문은 다시 離言眞如와 依言眞如로 나뉘는데, 원효는 『경론』에서 이언진여를 진제중도로 설명하고, 의언진여를 속제중도로 설명한다. 『경론』에서 진여문의 적멸은 實法相으로, 생멸문의 여래장은 一覺了義라고 하여 ‘一心本覺如來藏의 뜻’이라고 해석한다. 일심은 진여문과 생멸문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고, 一覺은 始覺이 원만하여 本覺을 증득할 때 사용한다. 원효는 일심을 설명할 때 “모든 마음의 상이 본래 근본이 없다ˮ라는 구절을 同行總相觀이라고 하여, 일체심법상의 총상을 관하면 根本과 本處가 없어서 空寂無生의 일심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일심의 체는 無相心으로서 일체 심상과 법상이 없는 진여문을 뜻한다. 空寂心地를 관하면 心空ㆍ空心을 증득하는데, 心空과 空心은 일심 본각의 뜻이기 때문에 생멸문을 의미한다. 원효는 『경론』에서 일심이문을 설명할 때 ‘일심의 근원’에서 ‘삼공의 바다’로 확장해서 설명한다. 이를 다시 유식학의 三性으로 융합하여 설명하는데, 속제를 버리고 증득한 진제는 [시각의] 원성실성인 진여문을 설명하고, 생멸문은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로 설명한다. 진제중도는 여래장으로 [본각의] 원성실성이고 속제중도는 의타기성이다. 진제중도와 속제중도는 같은 중도의 바탕인데, 중점을 두는 視覺이 다른 것이다. 진제중도는 깨달음을 선정의 입장에서 바라본 경지이고, 속제중도는 실천행의 입장에서 바라본 경지이다. 속제중도와 진제중도가 둘이 없는 경지가 무이중도이다. 원효가 『기신론』과 달리 『경론』에서 진제와 속제 외에 진제중도ㆍ속제중도ㆍ무이중도로 일심이문을 설명한 것은 수행경지가 理入을 지나 行入의 단계인 초지 이상의 경지에 있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represented the frame and system of one mind and two aspects which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One mind and two aspect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true-thusness aspect mean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equals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proposed the true-thusness aspect a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otally distinguished from the one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Since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Wonhyo illustrated signified edification of people while dwelling in tranquility without discriminating, he introduce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not merely as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the true-thusness aspect is again divided into true suchness beyond description and true suchness by means of words, which Wonhyo explained the former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latter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Calm extinction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he real characteristic of dharmas and Tathāgatagarbha of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is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and is employed as the one mind, original enlightenment, and Tathāgatagarbha. One mind is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and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and the one enlightenment is applied when the initial enlightenment is completely fulfilled and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achieved. When Wonhyo accounted one mind, he used the expression, “Al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originally have no origin” which is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 and if you contemplate the generic characteristic of all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 you’ll find your way to one mind which is void and calm, producing nothing where you don’t have the foundation and the original locus. The essence of one mind is the signless mind that signifies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without thoughts within the mind and characteristics of all Dharma. If you contemplate the ground of the mind where all is void and calm, you’ll attain ‘the mind is void’ and ‘voidness of mind’ which present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because ‘the mind is void’ and ‘voidness of mind’ indicate the aspect of the original enlightenment of the one mind.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demonstrated one mind and two aspects by expanding the fountainhead of the one mind to the sea of the three voidnesses. Additionally, he manifested it by blending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in Yogâcāra. Wonhyo unraveled the true-thusness aspect, that is, pariniṣpanna-svabhāva of initial enlightenment, as the absolute truth and the production-and-extinction aspect a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and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ventional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the absolute truth is Tathāgatagarbha, that is, pari

목차

국문초록
Ⅰ. 『금강삼매경론』과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 이해
Ⅱ. 일심과 이문의 구성
Ⅲ. 『경론』의 일심이문과 무이중도의 관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미. (2017).『금강삼매경론』의 一心二門 고찰. 불교문화연구, 17 , 5-31

MLA

김영미. "『금강삼매경론』의 一心二門 고찰." 불교문화연구, 17.(2017):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