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의 사회정서학습이 우리나라 인성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 미국·영국·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088

영문명
The implications of foreign SEL programs for the Korean Character Education policy: Based on cases of US, UK, & Singapore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우식(Park Woo-sik)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1권 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인성교육은 학교폭력, 학업중단, 청소년 자살과 일탈행동 등의 문제를 근본 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도입·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문제는 모든 국가가 직면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은 사회정서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정서학습은 학생들의 자기 인식·관리 및 타인 인식·관리 역량 강화를 통해 의사소 통과 갈등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기여한다. 사회정서 학습이 추구하는 핵심 역량은 우리나라의 인성교육이 지향하는 역량과 궁극적으로 일맥 상통한다. 따라서 미국, 영국, 및 싱가포르의 사회정서학습 도입과정과 추진 현황 그리고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검토는 우리의 인성교육 정책 추진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먼저 외국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처럼, 우리 실정에 적합한 인성교육 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계발과 보급이 시급하다. 다음으로 인성교육의 방향은 사회정서학습 역량을 강화를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셋째, 인성교육은 별도의 교육활동이 아니라 기존의 관련 교과나 교육과정 속에서 실시되어야 효과적이다. 넷째, 학급운영 및 학급훈육도 인성교육의 중요한 영역이다. 다섯째, 인성교육은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의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취약계층 및 학교 밖 학생을 대상으로 한예방적 차원의 인성역량 강화 교육도 절실하다. 끝으로 인성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to solve the fundamental social and school problems: bullying at school, suspension of studies, adolescences suicide, misbehavior, and so 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faced with these student-related problems. More and more foreign countries are grappling with the subject and running a high specialized curriculum in oder to strengthen students SEL(Social Emotional Learning) competencies. SEL is a program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students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y. It has proved to be very conducive to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Core competencies which SEL seeks to improve are very similar to those which Korean character education does. Thus, many implications are provided by the current state and curriculum of foreign SEL programs: the SEL program in US, the SEAL program in UK, and the CCE program in Singapore. These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n urgent matter to develop and expand programs for character education competencies that best suits our student and school in reference to foreign SEL programs. Nex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intensifying students SEL competencies. Third, it is more effective to execute character education in the relevant subjects or curriculum. Fourth, classroom management and classroom discipline are significant areas of character education. Fift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or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forged in advance. Sixth, vulnerable and out-of-school students ought to receive special education for improving character or SEL competencies. Finally,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is required and should be based upon the character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사회정서학습과 인성교육
Ⅱ. 미국의 사회정서학습(SEL)
Ⅲ. 영국의 사회정서측면의 학습(SEAL)
Ⅳ. 싱가포르의 인성시민교육(CCE)
Ⅴ. 결론: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우식(Park Woo-sik). (2016).외국의 사회정서학습이 우리나라 인성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 미국·영국·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31 (1), 1-28

MLA

박우식(Park Woo-sik). "외국의 사회정서학습이 우리나라 인성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 미국·영국·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31.1(2016):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