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 펀딩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이용수 575

영문명
Issues of the Crowd Funding of the Culture and Arts Sector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휘정(Kim Hwi Jung)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23집, 41~6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인기부 문화의 진작이라는 문화정책의 기조에 맞추어 최근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온라인 소액 기부 프로그램인 크라우드 펀딩과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크라우드 펀딩은 현재 다양한 의미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 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대안적 재원조성 도구로서의 운영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크라우드 펀딩의 광의와 협의의 정의를 내리고, 창업 투자로부터 프로젝트 후원, P2P 금융, 저금리 대출, 단순 기부에 이르는 크라우드 펀딩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운영 방식의 측면에서, 국내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소셜 펀딩 플랫폼, 그리고 투자 수익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소셜 금융투자 플랫폼의 문화예술 부문에 대한 후원/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 크라우드 펀딩법의 도입, 후원/투자자를 위한 보호장치 마련, 문화예술 크라우드 펀딩의 건전한 생태계 구축, 사회적 캠페인 마련, 홍보 지원 방안으로서의 재능 기부와 컨설팅 제공, 후불결제 시스템 개발에 대한 규제 완화 등과 같은 입법·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exploratory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rowd funding program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culture and arts sector. Currently, crowd funding is used for diverse meanings in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operating mechanism as an alternative fundraising tool for the culture and arts sector.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fines the crowd funding in a broad as well as a narrow sense. Then, the categories of the crowd funding were driven from creative support, project support, peer to peer financing, microcrediting, to donation. Secondly, the study attemp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ding cases among social funding platforms by ARKO, private business firms, and the P2P social financing platform. Finally, the study suggests legislative and policy alternatives to boost the crowd funding for the culture and arts sector as follows: the legislation of the Crowd Funding Act, developing the protective system for investors/supporters, building the sound ecological system of the crowd funding in the culture and arts sector, social campaign, providing volunteering and consulting as supplements of promoting the funding projects, and the deregulation of the current payment options.

목차

Ⅰ. 서 론
Ⅱ. 크라우드 펀딩의 등장 배경
Ⅲ. 문화예술 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현황과 사례 분석
Ⅳ. 예술분야의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를 위한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휘정(Kim Hwi Jung). (2012).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 펀딩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예술경영연구, 23 , 41-64

MLA

김휘정(Kim Hwi Jung). "문화예술 분야 크라우드 펀딩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예술경영연구, 23.(2012): 4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