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학교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대한 탐색적 모형 연구

이용수 283

영문명
An Explor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of Art and Culture after school Program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reativity Development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조성경(Cho Sung kyung) 김세준(Kim Sae jun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2집, 145~1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몰입환경 제공을 통하여 학생의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 을 증진하는 동기요인을 보다 세히 관찰하여 실제로 문화예술에서 강조하고 하는 창의성과의 관계파악을 하고, 학습자의 조건에 맞는 문화예술 교육을 설계하고 제 공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내재화된 동기로 삼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강화에 초 점을 맞출 수 있는데 있다. 모형연구를 위해 2014년 6월 한 달간 서울지역 소재 2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에 서 방과후 문화예술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를 위하여 한국교육 종단연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4차년도(2005년) 한국교육 종단연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학업적 자기조절 척도와 창의성 검사에 대 한 아동의 문항 이해도를 파악하고 척도 문항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창 의적 척도로 기존 검증된 학습동기 검사도구와 창의 인성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후, 측정도구의 신뢰도 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 ∝ 산출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습동기, 창 의성 도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 및 다중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학습동기가 창의성에 미치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요인으로 학생 ID, 학교 ID, 성 별, 재학고등학교 유형이며, 독립요인으로 학교프로그램경험(방과후 학교 교과보충, 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동아리종류(문화예술, 학습관련, 스포츠, 취미오락, 종교관 련, 사회봉사, 청소년단체, 기타(주관식 미기재), 방송반, 분류불가)이다. 종속요인 은 학습목표지향성(숙달접근, 수행접근, 수행회피), 자기조절학습전략검사 내 자기 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 항목이다. 연구결과는 만족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는 집단 간 차이가 모두 유의미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 만족정도와 자기효능감, 행 동조절(노력끈기)차이분석은 방과후 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만족 수준 과 자기효능감, 행동조절(노력끈기) 요인와의 집단 간 차이분석인 분산분석을 실시 한 결과, 만족수준과 자기효능감 및 노력과 끈기는 집단 간 차이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Duncan 사후 검증결과 자기효능감은 방과후 학교특기적성프 로그램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통이다”라고 느낀 집단과 “매우 도움이 된 다”라고 응답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특기적성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집단일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행동조절(노 력끈기)요인과의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방과후 학교특기적성프로그램 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보통이다”라고 느낀 집단과 “매우 도움이 된다”라고 응답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 이론을 토대 로 향후 후속연구에서 창의적 인성과 학습동기의 경향과의 관계와 중학교와 고등학 교간의 차이, 예술중점학교와 일반학교 간의 수준 차이 등이 학교별 설문을 통해 파악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ivation which increas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relationship on creative development at the art and culture after school program. Further the study will support the better environment for development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of art and culture after school programs at the 2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in Seoul. The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first, the theories of academic motivation, creativity, creativity development, secondly, pilot study of questions to selected professionals and students, and analyzed by statistical analysis of random serial cross study of Korea Education Research. The self-controlled index and creativity index developed by Ryan & Deci (2000) and Kim, A Young (2002) was used.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program experience, club and dependent variables are goal prsuits, self-determination behavior. The results were followings. Satisfaction levels among different groups were significant. The inferential statistics supported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satisfaction level groups. The results of self-detemined behavior was same as above. This study constructs the model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at various schools such as arts specialized school, and will provide the validity of creativity at the art and culture program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경(Cho Sung kyung),김세준(Kim Sae june). (2014).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학교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대한 탐색적 모형 연구. 예술경영연구, 32 , 145-171

MLA

조성경(Cho Sung kyung),김세준(Kim Sae june).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학교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대한 탐색적 모형 연구." 예술경영연구, 32.(2014): 145-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