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지원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09

영문명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of Visual Art Support Paradigm: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김혜인(Hye in Kim) 박소현(So hyun Park)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32집, 119~14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지원정책, 그중 창작지원사업들이 전문인들에 의한 직업적 활동의 활성화를 그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적 활동에 대한 보상과 인정 대신 최소한의 환경과 기회제공, 그리고 기본생활환경 구축을 위한 최소복지 적 접근에 보다 가까웠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 에 현재 미술지원정책의 대상 선정의 특징, 지원방식의 특징을 그간의 정책지원사 업의 대상과 사업내용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그 한계점을 살펴보며, 창작지원 패러다임의 변화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탐색적 분석결과 그간의 미술창작지원정책은 미술의 공공적 사회적 가치에 근거하여 작품제작을 위한 최소 한의 환경 제공, 작품발표의 기회제공, 그리고 기본생활로 인해 예술활동의 중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복지적 지원에 집중된 반면, 미술인 및 미술활동의 전문성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 정당한 사회·경제적 보상의 미흡, 그로부터 미술활동이 란 영역의 자립기반 마련의 묘연함이 발생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 에서 본 연구는 미술창작지원의 패러다임을 창작기회의 제공이라는 것에서 경제활 동으로서의 미술활동의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정당한 경제적 보상구조 정착과 자립기반 마련에 두고 지원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그에 맞는 정책 지원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been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atic issues in visual art supports in policy approach which were more like the welfare approach that provides the faintest environment and opportunities for art creation as well as providing basic living conditions. However, visual art supports should aim to vitaliz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y professional artists which we ought to focus on offering a proper reward for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Based on this critical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upport targets and support types of visual art support policy for grasping the limitation of visual art supports in a while. The study examined the previous and current support system that aimed to support visual art creation by MCST, Art council, and other art support foundations. Also, the study researches how the visual art support paradigm shifts in art support perspectives in these days. As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analysis, the study figure out previous visual art supports in policy approach have been focalized provision of welfare perspective to prevent activity suspension because of the sustentation difficulty of fundamental living condition. Appropriated economic compensation and commendation of the value of professional work of artist on the other hand have been insufficient. Henceforth, establishing independent foundation of visual arts as professional era becomes much more difficul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a new support paradigm for facilitating settlement of a healthy compensation systems to create continued artistic development.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창작지원 패러다임의 변화와 새로운 방향
I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인(Hye in Kim),박소현(So hyun Park). (2014).미술지원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2 , 119-143

MLA

김혜인(Hye in Kim),박소현(So hyun Park). "미술지원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32.(2014): 119-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