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의 장례문화사

이용수 925

영문명
History of Funeral Culture in Germany - Focused on Death Awareness and Funeral Culture -
발행기관
한국독일사학회
저자명
김춘식(Kim, Chun-Shik)
간행물 정보
『독일연구』Vol.36, 5~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독일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장례문화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추적하고, 독일의 장례문화에 대한 현재적인 전망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죽음에 대한 연구는 우선 종교와 철학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미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부터 ‘죽음’은 철학적 사고와 종교적 고찰의 기초위에 성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윤리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최근 특히 유럽지역에서는 ‘죽음의 질’(Quality of Death)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며, 이는 곧 죽음 이후 에 생기는 각종 의식행위인 상례(喪禮)와 제례(祭禮), 특히 장례(葬禮, Bestattung)의 변화양상에 대한 문화적 관심을 촉발시키고 있다. 독일인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그 시대의 환경과 의식(意識)에 따라 변화 했다. 유목민이었던 게르만족들은 사후세계(死後世界)를 믿었기에 내세관에 따라 죽음을 경건하게 수용했다. 중세 시기부터 종교개혁 시기까지 독일지역에서는 기독교적인 죽음에 대한 관점을 수용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신인문주의 물결 앞에서 기독교적 해석은 더 이상 절대적인 가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지속되었던 수많은 전쟁 희생자들을 목격하면서 독일 민족은 ‘죽음’에 대한 독특한 사유지평을 확대해 나갔다. 독일의 장례문화도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양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첫째로 고대 게르만사회에서는 장례는 화려하지 않았지만 화장과 토장이 동시에 행해졌다. 둘째로, 초대 교회에서의 장례는 육신의 부활과 구원의 영광을 포함하는 의미였다. 셋째로, 중세에 기독교의 장례문화는 남겨진 사람들이 죽은 사람에게 보내는 예의와 정성을 하나의 의식으로 표현하는 것이었다. 넷째로, 근현대시기에 고대의 관습인 화장(火葬)은 이교도적인 것으로 금기시되었으며, 계몽주의시기에 들어와 다시 고대의 관습인 화장이 등장했다. 아울러 16세기에 창궐한 흑사병은 독일의 묘지문화를 바꾸어 놓았으며, 이후 계몽주의시기에 들어와서 묘지와 묘비의 재정비가 진행되었다. 다섯째로, 19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에서는 가족묘에 대한 의식이 생기게 되었으며, 19세기 말 근대 산업시대에는 기술문명의 진보로 화장이 다시 시작되었다. 여섯째로, 20세기 에 들어와서는 공원묘지가 독일에 정착했다. 독일민족은 기독교적 전통에 따른 장례문화를 강하게 지속해 왔다. 하지만 지난 2000년대에 들어와 보수적인 독일의 장례문화는 급격한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독일인들은 매장보다 친환경적인 수목장과 같은 장묘를 더욱 선호하고 있다. 독일 정부 또한 죽음의 의미를 보다 가치 있는 삶으로 환원할 수 있는 ‘죽음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또한 친환경적인 장례문화의 형성을 위 해 홍보 및 제도개선 노력을 함께 기울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historically tracing the changes of death awareness and funeral culture of the Germans and to draw the current outlook for German funeral culture. The study of death began in the field of religion and philosophy. From the ancient Greek world, Death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on the bases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religious contemplation. Despite ethical issues, there are lively discussions about Quality of Death especially in Europe. This situation is triggering cultural awareness of various ritual acts after death such as funeral rites and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especially the change patterns of ancestral ritual formalities(Bestattung). The perception of German deat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the period. The German as nomads believed in the afterlife and accepted the death rev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afterlife view. From the Middle Ages to the Reformation Period, the Germans embraced the view of Christian death. However, in front of the tide of Neo-Humanism, the Christian interpretation was no longer able to maintain absolute values. With witnessing hundreds of thousands of casualties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German race has expanded its unique private horizon for ‘death’. Germany s funeral culture also reflects the changing perceptions of mortality. Firstly, in ancient German societies, funeral rites were not splendid, but cremation and burial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Secondly, the funeral of the early church was meant to include the glory of the body which takes part in the restoration and salvation of the flesh. Thirdly, the funeral culture of Christianity in medieval times was expressed as a ritual expression of decency and devotion of the rest of the people to the dead people. Fourthly, during the Modern Times, the ancient practice of cremation was heretical and taboo. And, from the Enlightenment Times, the cremation of the ancient custom appeared again. In addition, the Pest rampant in the 16th century changed the German cemetery culture. Later in the Times of Enlightenment, reconstruction of tombs and forebears was carried out. Fifthly, in the 19th century, in Germany, a sense of family consciousness was created.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Modern Industrial Era, cremation began again with technological advances. Sixthly, in the 20th century, the cemetery was settled in Germany. The German race has maintained a strong tradition of burial by Christian tradition. However, in the late 2000s, since conservative German burial rituals showed a dramatic change, the Germans prefer the natural burial, which are eco-friendlier than the burial. Also, the German government increases the education of death, which can revert the meaning of death to a worthier life. And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promotion and improvement efforts to create eco-friendly burial culture.

목차

I. 들어가기
II. 독일인들의 역사와 죽음 인식
III. 독일의 장례문화
1. 고대 게르만족의 장례문화
2. 초대교회시기 장례문화
3. 중세 기독교시기의 장례문화
4. 근현대시기 독일의 장례문화
5. 현대 독일의 장례와 장묘, 그리고 죽음 교육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춘식(Kim, Chun-Shik). (2017).독일의 장례문화사. 독일연구, 36 , 5-42

MLA

김춘식(Kim, Chun-Shik). "독일의 장례문화사." 독일연구, 36.(2017): 5-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