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ize, business dur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for Korea’s export-leading industries

이용수 1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경제통상학회
저자명
Mi Kyung Pai(배미경)
간행물 정보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6卷 第1號, 169~20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95-2014년의 광업·제조업 통계조사보고서 의 미시 패널 사업체 데이터를 활용해 대 규모 사업체와 중소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이 29개의 수출주도산업과 13개의 수출산업의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충격을 추정했다. 첫째,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이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충격은 중소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이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충격보다 전 산업과 기간에 걸쳐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시장의 외생적 충격으로 인한 수출주도 산업의 생산성 급락에 미치는 충격은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감소로 인한 충격이 중소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감소로 인한 충격보다 훨씬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1970년 대 선택과 집중의 목표 산업이었던 정밀화학, 제 1차 금속, 석유화학, 기계 등의 산업에서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증가는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뒤처지는 기술진보를 만회해 높은 생산성증가를 유지하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축적된 암묵적 지식에 의한 편익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수출주도 산업에서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은 중소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과 13개 수출산업에서의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변동에 비해 무려 두 배에 가깝게 생산성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다섯째, 1998년 불황 시, 수출주도 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기술적 효율성과 배분 효율성의 손실로 인해 그 절반으로 급락했으나 기술진보는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대 규모 사업체의 생산지속기간의 증가 역시 생산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산업의 맞춤형 경쟁력향상정책의 근간을 세우는 데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장기 성장을 위한 길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 the impact from changes in the business duration of large establishments (LEs) and that of small and medium-sized establishments (SMEs) on the productivity growth of 29 export-leading industries and 13 other exporting industries during 1995-2014 in Korea. The impact from changes in business duration of LEs varied across industries and time periods in a far greater extent than did that of SMEs. For export-leading industries, the extent of impact from the decrease in business duration of LEs was far greater than that of SMEs to reduce the productivity growth, which was triggered by the market exogenous shocks. Older target industries of fine chemicals, basic metal products, petrochemicals, and machinery, showed that the increase in business duration of LEs promoted productivity growth to a greater extent, which recouped their flagging technical progress (TP) to sustain high productivity growth by help of their accommodated tacit knowledge. Changes in the business duration of LEs achieved twice the impact on productivity growth than that of SMEs in the export-leading industries, as well as that of LEs in other exporting industries. During the 1998 depression, the productivity growth of export-leading industries plunged to a half resulting from significant technical efficiency and allocative efficiency losses, but led by steady TP and the longer business duration of LEs.

목차

I. Introduction
II. Model
III. Data
IV. Results
V.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i Kyung Pai(배미경). (2018).Size, business dur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for Korea’s export-leading industries. 경제연구, 36 (1), 169-206

MLA

Mi Kyung Pai(배미경). "Size, business dur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for Korea’s export-leading industries." 경제연구, 36.1(2018): 169-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