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정노동효과에 대한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와 조직 정의(organizational justice)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용수 893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place Industrial Relations Regime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Emotional Labor Results: A Qualitative Interpretation on Emotional Labor and Working Condition of Call Center Worker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권혜원(Kwon, Heiwon)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1권, 97~13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콜센터 상담사들의 감정노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탈진, 직무소진, 이직의도 증가등의 부정적 영향에 주목하여 그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는 핵심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본 연구는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의 역할에 주목하여, 기업조직 내 노사관리 및 인적자원관리 프랙티스(HR practice)가 감정부조화에 따른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을 강화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직 콜센터 상담사와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소비자 주권과 동등한 수준에서 상담사의 노동권과 인격권을 보장하는 감정노동 규칙과 제도가 부재할 경우 상담사의 감정탈진과 직무소진이 강화될 수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과도한 정량적 실적 목표를 부과하며 상담사의 휴게권과 직무 재량권을 박탈하는 엄격한 성과 모니터링과 통제도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노동조합은 상담사들의 발언권을 증대하여 관리자들의 독단적 통제와 상호작용적 부정의를 완화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노동의 상이한 효과를 개인적 성향의 차이에서만 설명하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감정노동의 효과를 조절하는 작업장 노사관계체제의 핵심적 역할을 규명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감정부조화로 인한 감정노동의 인간적 비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직 정의와 노동권 증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caus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burnout, and intention to quit. By doing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workplace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gime, and argues that the labor relations and HR practices at the firm level can either augment or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call center workers and manager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when workplace rules, polices and practice do not protect workers’ labor right,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burnout of call center workers increase. Similarly, Taylorist models of work organization increas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by its excessive focus on quantitative performance goals, its intensive monitoring that even violates workers’ right to rest, and its lower levels of workers’ job discretion. Lastly, the presence of labor union makes it possible for workers to reduce the arbitrary control of managers and to restore the interactional injustice by manifesting collective voice at workpla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overcome the limits of past studies that exclusionar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traits and strategies of individual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This study contributes to fill the vacuum of the emotional labor research by finding the crucial role played by workplace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gime in moderating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In doing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human costs of emotional labor, we need to transform the Taylorist workplace regime into a humanistic regime that promotes workers’ labor right and organizational justic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분석틀
Ⅲ. 감정노동 효과를 조절하는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혜원(Kwon, Heiwon). (2018).감정노동효과에 대한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와 조직 정의(organizational justice)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 (1), 97-135

MLA

권혜원(Kwon, Heiwon). "감정노동효과에 대한 작업장 노사관계 체제와 조직 정의(organizational justice)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1(2018): 97-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