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독도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저지형 비교 분석

이용수 61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Bathymetry in the Dongdo and the Seodo, Dokdo using Multibeam Echosounder System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이명훈(Myoung Hoon Lee) 김창환(Chang Hwan Kim) 박찬홍(Chan Hong Park) 노현수(Hyun Soo Rho) 김대철(Dae Choul Kim)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50권 6호, 477~48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독도, 동도와 서도 연안에서 정밀 해저 지형과 해저면 영상 자료를 획득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나타나는 해저 지형 및 해저면 환경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독도 섬 육지부와 바로 연장되는 동도와 서도 각 남부 연안 해역의 약 250 m × 250 m 범위에서 정밀 수심 자료와 해저면 영상 자료를 획득하였다. 동도 남부 연안은 최대 수심 약 50m 범위이며, 서도 남부 연안은 최대 수심 약 30 m 범위에 해당한다. 동도와 서도 연안은 섬 육지부에서부터 연장되는 모암 이 해수면 아래로 그대로 이어져 해저면에서 큰 수중 암반 지대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규모는 서도 남부 연안이 동도 연안에 비해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 동도와 서도 연안 모두 유사한 수중 암반 지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주변으로 형성된 해저면 환경은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동도 남부 연안은 섬 육지부에서 기인한 크고 작은 암설들로 인해 형성된 테일러스(Talus) 형태의 해저면 환경이 수심 약 15 m 범위까지 형성된 특징을 보이며, 수중 암반 지대와 해저면의 경계면이 모호하게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서도 남부 연안은 비교적 큰 규모의 수중 암반들과 고른 퇴적물이 분포하여 해저면과 접하고 있는 섬 육지부터 연장되는 암반들의 경계면이 확실하게 구 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는 동도의 해안 절벽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응회암층이 풍화나 침식에 약하여, 서도 연 안에 비해 섬 육지부로부터 운반된 쇄설성 퇴적물이 흘러내린 영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특히 동도는 서도에 비해 선착장이나 통행로 개설공사 등의 활동이 계속되어 섬 육지부의 지반 불안정과 단층, 절리, 균열이 높은 편으로 나타난 바 있다. 또한 과거 연구 결과들에서 동도와 서도에 나타나는 괴상 응회질 각력암층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음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요소가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저면에서 구별되어 나타나는 쇄설성 퇴적물 환경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의 상이한 해저면 환경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 precise seabed geomorphology and conditions for comparing the nearshore areas of the Dongdo(East Island) and the Seodo(West Island) using detailed bathymetry data and seafloor backscattering images, in Dokdo, the East Sea. We have been obtained the detailed bathymetry data and the seafloor backscattering data. The survey range is about 250 m × 250 m including land of islets to the nearshore area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Dongdo and the Seodo. As a result of bathymetry survey, the southern area of the Dongdo(~50 m) is deeper than the Seodo(~30 m) in the water depth. The survey areas are consist of extended bedrocks from land of the Dongdo and the Seodo. The underwater rock region of the Seodo is larger than the Dongdo. In spite of similar extended rocks features from islets, there are some distinctive seabe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outhern nearshore areas of the Dongdo and the Seodo. The Talus-shaped seafloor environment formed by gravel and underwater rocks originating from the land of the Dongdo is up to about 15 m depth. And the boundary line of between extended bedrocks and seabottom is unclear in the southern nearshore of the Dongdo. On the other hand, the southern coast of the Seodo i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large scale underwater rocks and evenly distributed sediments, which clearly distinguish the boundary of between extended bedrocks and seafloor. This is because the tuff layers exposed to the coastal cliffs of the Dongdo are weak against weathering and ero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more influences of the clastic sediments carried from the land of the Dongdo compared with the Seodo. Particularly, the land of the Dongdo has been undergoing construction activities. And also a highly unstable ground such as faults, joints and cracks appears in the Dongdo. In previous study, there are dissimilar features of the massive tuff breccia formations of the Dongdo and the Seodo. These conditions are thought to have influenced the different seabe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rn nearshore areas of the Dongdo and the Seodo.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및 연구자료
3. 자료처리
4. 결과 및 토의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훈(Myoung Hoon Lee),김창환(Chang Hwan Kim),박찬홍(Chan Hong Park),노현수(Hyun Soo Rho),김대철(Dae Choul Kim). (2017).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독도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저지형 비교 분석. 자원환경지질, 50 (6), 477-486

MLA

이명훈(Myoung Hoon Lee),김창환(Chang Hwan Kim),박찬홍(Chan Hong Park),노현수(Hyun Soo Rho),김대철(Dae Choul Kim). "다중빔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독도 동도와 서도 남부 연안 해저지형 비교 분석." 자원환경지질, 50.6(2017): 477-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