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여명기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과 북의 시각

이용수 36

영문명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in Views of Modernization of Korea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유초하(Ryu Cho Ha)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0집, 173~2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사적 근대화를 지향한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북 학계의 주류적 평가와 그 근저에 깔린 판단근거의 차이, 그리고 그러한 차이를 규정하는 근원적인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들 세 운동 중 남쪽에서는 동학농민전쟁을 가장 무거운 역사적 의의를 갖는 근대지향 민족운동으로 평가하며, 북쪽에서는 대일의병전쟁을 가장 중요한 민족자주 항일운동으로 평가한다. 여기서 남쪽 학계는 동학농민전쟁이 반봉건-반외세의 지향을 동시에 강력하게 지녔으며 가장 많은 대중이 오랜 세월동안 치열하게 집중적으로 투쟁한 운동이라는 점을 근거로 삼는다. 이에 비해 북쪽 학계는 대일의병전쟁이 반침략의 투쟁의지를 가장 강력히 발현했고, 가장 많은 대중이 가장 오랜 기간동안 치열하게 투쟁했으며, 다음 세대의 독립투쟁으로 연 결된다는 점을 이유로 든다. 남북한 연구자들 중 누구도 19세기말, 20세기초의 한국사에서 반봉건, 반외세의 양대 과제 중 어느 한 쪽을 무시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엄밀히 볼 때 남쪽에서는 대체로 반봉건의 과제를 보다 중심에 놓는 편이고, 북쪽에서는 전반적으로 반외세의 과제를 더욱 중시한다. 또한 남쪽에서는 양대 과제가 동시에 추구되어야 할 과제였음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고, 북쪽에서는 동시추구를 대원칙으로 삼기보다는 반외세투쟁의 선차성을 인정하는 논조가 강하다. 여기서 남쪽의 연구태도는 인류사의 발전에 대한 기본적 틀을 한국사에 적용하려는 진보적 사관에 바탕을 둔 것으로, 그리고 북쪽 연구태도의 바탕에는 보편사로 환원되지 않는 민족사의 고유한 특징을 드러내려는 관점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논자는 이해한다. 3대 민족운동을 바라보는 차이는 1920년대 이후 항일투쟁을 바라보는 시각, 해방 이후 남북한사회의 발전과 현위치를 평가하는 관점, 통일의 경로와 통일한국을 전망하는 입장 등과 두루 얽혀 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입장의 차이 중 근원적인 것으로는 남쪽의 연구자들은 오늘날 남한사회의 기본문제가 자본주의적 계급모순에 있다고 보는 데 비해 북쪽의 연구자들은 현재 북한의 중심문제가 미국 등 제국주의세력과의 대외적 민족모순에 있다고 보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Korea, three kinds of spontaneous movement toward modernization were initiated in thre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DongHak Peasants War, Enlightenment Culture Movement and Anti-Japanese Militia Struggle- all of which on the whole aimed at abolishment of the ancient regime and expulsion of the colonial foreign imperialist powers.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positions of these movements, expounded and commented by the mainstream faction of pertained scholars in the North and South Korea. Thereupon I tried to discern the different trends or prevalent views of research in the two Koreas in evaluating those three movements. To point out the core difference in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hree movements, the leading scholars of South Korea gave the most historical significance to DongHak Peasants War, in that it headed for liquidation of the feudal ruling system and, at the same time, repulse of the foreign invaders, and besides, it composed the most majority of participants who fought intensively to the end of their live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ers of North Korea as a whole evaluated most highly of Anti-Japanese Militia Struggle, on the ground that its orientation against imperialist invasion as well as and its battle on the spot with them was most fierce, and its duration of fight was most long with its magnitude of participants, and in addition, it was succeeded by the Independence Struggle of the next generation. Scholars of neither side neglect any one of the concurrent tasks of anti-feudalism and anti-imperialism in the context of the modernization in the 19th century. However, atmosphere of the Southern academic world suggests that these two tasks should in principle have been pursued simultaneously, while that of the Northern one indicates that the latter task should have been accomplished separatedly prior to the former. In addition, the academic society of the South as a whole tend to put the task of anti-feudalism prior to anti-imperialism, whereas scholars of the North generally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task of anti-imperialism than that of anti-feudalism. Here we can notice that the Southern way of scientific investigation lies on the basis of a universal view of historical progress, and the Northern mode of historical investigation prefers to elucidate the unique aspects of dynamics in Korean history that cannot be reduced to the universal history of mankind. The problem of differences in the views of the three nationalist movements in the 19th century are mingled with and correspond to such other issues as the standpoints of expounding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1920 s, the viewpoints of assessing and defining the development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societies and States of the two Koreas, and the visions of the process and method of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fundamental element among the many of those differences, I think, consists in the view of present situation of Korean peninsular, especially in respect to the major conflict confronted with Korean Nation as a whole. In other words, South Korean researchers tend to consider class conflict within Nation State as the main conflict of the present society, and the Northern trend of studies focuses upon the international conflict with the imperialistic hegemony power as the central problem of Korea.

목차

요약문
1. 예비적 근대화운동으로서의 실학에 관한 단상
2. 주제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근거, 그리고 서술의 기본방침
3. 동학운동과 농민전쟁
4. 개화운동과 애국문화운동
5. 척사위정운동과 대일의병전쟁
6. 근대민족운동 전반을 바라보는 남북 학계 입장의 차이
7. 남북한 관점차이의 핵심 논점 : 척사위정운동의 지위 문제
8. 남북 학계 관점 차이의 정치문화적 배경
9. 남북 역사연구의 조건상의 차이로 본 남한 학계의 반성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초하(Ryu Cho Ha). (2004).근대여명기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과 북의 시각. 태동고전연구, 20 , 173-203

MLA

유초하(Ryu Cho Ha). "근대여명기 3대 민족운동에 대한 남과 북의 시각." 태동고전연구, 20.(2004): 173-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