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학생의 네이밍(Naming) 습득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73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on the Nam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최진혁(Choi, Jinhyeok) 김대용(Kim, Daeyong)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7권 제2호, 29~4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중반응교수법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네이밍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3-5세의 발달장 애를 보이는 아동 3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다중반응교수법으로 20개의 사진으로 구성된 사진세트 4개를 활용하여 중재하였다. 다중반응교수법은 청자행동인 매칭과 포인트, 화자행동인 택트와 인트라버벌을 비연속개별시도의 형태로 교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네이밍(naming)이다. 종속변인의 측정은 청자행동 중 하나인 매칭을 직접 적으로 가르 친 뒤,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은 화자행동(택트, 인트라버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기록법을 사용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IOA)를 산출하여 관찰 기록의 신뢰도를 입증하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98.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재충실도는 총 8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문항을 제작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재충실도는 95% 로 나타났다. 사회적 타당도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중재척도프로파일(IRP-15)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타당도는 72.5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3명의 연구 참여자는 네이밍이 습득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 on the emergence of Naming. Three kindergarten students, who were 3-5 year old males and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as the emergence of Naming.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mastery of the MEI in which listener (matching and pointing) and speaker (tact and intraverbal) responses were taught in a randomized sequence. This study was observed and recorded using the frequency recording metho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IOA) was calculated to demonstrate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s an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98.5%. The intervention fidelity of this study was measured by making a total of 8 items. The intervention fidelity was 95%. Social validity was measured using the Intervention Scale Profile (IRP-15), which had a total of 15 items. The social validity score was 72.5. The results depict that the MEI effect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o the Naming probe trials (i.e., the emergence of Nam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Choi, Jinhyeok),김대용(Kim, Daeyong). (2017).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학생의 네이밍(Naming)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7 (2), 29-47

MLA

최진혁(Choi, Jinhyeok),김대용(Kim, Daeyong).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학생의 네이밍(Naming) 습득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7.2(2017): 29-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