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이용수 622

영문명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전병주(Jeon, Byeong Joo)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7권 4호, 853~87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공동생활 하는 노인들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들의 공동생활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남․북, 충남․북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 20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그룹-홈, 공동거주제, 독거노인 등 3개의 거주형태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Time 1과 Time 2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나타나 2차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추가적인 맥락 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우울은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지만,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는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그룹-홈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개인생활에 익숙한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독립적인 공간 부족과 사생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공동생활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실질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제시했으며, 노인들이 공동생활에서의 조기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together in group-home and congregate housing. And in this course, it was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recent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y community life of elderly people by comparing them with the groups of elders living alon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ime 1 and Time 2, and 205 person s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tilized to analysis the data of this stu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condar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used to identify additional contextual inform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ase of living in group-home and congregate housing, and it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group of elders living alone. Second, the life satisfaction of survey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living in congregate housing, group-home was significantly worse, and the group of elders living alo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lightly worse. Third, mixed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mak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group-h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elderly to improve early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life. And the community life of the elderly can contribute to a real social safety net by solving the blind spot of welfare.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 reference to improve and strengthen existing policies by providing data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the performances and problems of various policies related to housing 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병주(Jeon, Byeong Joo). (2017).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노년학, 37 (4), 853-870

MLA

전병주(Jeon, Byeong Joo).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노년학, 37.4(2017): 853-8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