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壽齊天의 繪畵的 表現方法에 대한 考察

이용수 31

영문명
A Study on the Pictorial Expressions of ‘Sujecheon’ - Based on a survey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저자명
한상일(Han Sang il)
간행물 정보
『불교문화연구』제10집, 97~14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수제천의 회화적 표현방식으로 한국전통음악을 설명할 수 있는가의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전통음악을 설명하면서 회화적 표현방식에 사용하는 용어들이 출현하고 있다. 따라서 어느 부분이 회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음악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명확히 논거하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입장을 취하게 된 이유는 먼저 교육체계의 변화가 예술적 시각의 변화를 만들어 낸 것이다. 전통적인 교육체계에서는 악(樂)은 통합적 의미를 담고 있었다. 오늘날처럼 음악과 무용, 기악 등으로 세분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원천(源泉)이었다. 따라서 음악과 무용, 기악과 음악은 하나의 지류(支流)이면서 원천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 교육체계의 획일적인 교육으로 전문화와 세분화가 진행되면서 한국화와 수제천을 분리된 분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설문조사에서 ‘수제천을 설명할 때 여백의 미라는 표현이 적절한가’라는 질문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67.6%가 나타난 것은 관계인정의 선행 작용 때문이다. 이왕직 아악부 출신의 음악인에게 수제천을 학습한 세대는 가락과 장단만을 학습한 것이 아니라 관행적으로 이어져온 습속도 합께 학습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회화적 표현 방식인 ‘여백의 미’가 수제천을 해설하는데 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인 것이다. 여백의 미, 즉 공간에 대한 인식은 수제천에서는 연음(bridge tone)(62.2%)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음은 피리가락이 사라질만하면 대금가락이 그 뒤를 이어 나오는 형식으로 한국화에서 공간이 표현하는 의미를 선율의 시간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소리는 없지만 시간 속에 음이 지속한다는 개념으로 받아드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불규칙장단과 속도에서 여백의 미를 느끼는 것은 장단과 박자의 개념을 다르게 인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수제천을 합주할 때 일정한 공간의 의미보다는 무한한 공간, 즉 연주자의 공간이 불규칙장단으로 표현하기에 여백의 미를 느끼는 것이다. 물론 속도도 서양음악에서는 측정 불가능한 20박으로 진행된다. 일정한 속도는 있지만, 획일적인 속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즉 객관적 개념이기에 여백의 미는 자신이 만들어 가면서도 여백의 크기를 객관화시키는 것이다. 아쉬운 것은 교수자와 교습자간의 암묵적 지식이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는 ‘여백의 미를 선생님에게 들어서라는’응답이 2.7%만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예술적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암묵적 지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도제식 교육방법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오늘날 예술교육에서도 도제식 교육방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예술분야의 장르는 다양하게 형성되어있다. 훌륭한 예술가가 있는 반면 평론가, 음악사회학자, 현상학자, 역사학자, 미학자 등 무수히 많은 학문분야가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렇게 다분화된 예술장르를 인식하지 못하고 전문화, 세분화를 강조한다면 영원히 강의 원천을 찾지 못하고 샛강만을 보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an with an assumption that traditional Korean music could be explained in the pictorial expressions of ‘Sujecheon’. Explaining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ey have used terms usually reserved for pictorial expressions, which created a situation in which they couldn t provide clear grounds as to which parts had pictorial meanings and which parts had musical concepts. Such a position is attributed to the changes to artistic views caused by the changes to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music had comprehensive meanings. It was one source unlike today when music, dance, and instrumental music are all separated. Thus music and dance or instrumental music and music make a tributary and source at the same time. The uniform education provided by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however, promoted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which separated Korean paintings from Sujecheon. The survey results reveal that 67.6% of the respondents said yes to the question, Is the expression of beauty of blank space proper when explaining Sujecheon? It s because of the predetermined effect of recognizing relations. The generations that studied Sujecheon from the musicians of Yi Wang-jik A-akbu or Yi dynasty court music Institute learned the customary practice as well as melodies and rhythms. That s why they said that beauty of blank space would be proper for explaining Sujecheon even though it s a pictorial expression. The biggest percentage(62.2%) of them perceived beauty of blank space or space as bridge tones in Sujecheon. The bridge tones are made up with pipe melodies, which are followed by Daegeum melodies. The meaning expressed in space in Korean paintings is perceived as a time concept of melodies. That is, they think tones continue in time despite the absence of sound. Thus they feel beauty of blank space in irregular rhythms and speed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rhythms and beats. When playing Sujecheon, the players space is expressed in irregular rhythms to represent infinite space rather than limited space, which is why they feel beauty of blank space. The speed, of course, carries on with 20 beats that can t be measured in Western music. That means the speed is constant but not uniform. With it being an objective concept, they create beauty of blank space for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objectify the size of the blank space. Unfortunately, there is no exchange of tacit knowledg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as it s clear with only 2.7% saying Because I heard beauty of blank space from the teacher. Artistic knowledge is usually passed down as tacit knowledge in the apprenticeship approach. However, the approach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today s art education. The art field has diverse genres. In addition to many outstanding artists, there are many great critics, music sociologists, phenomenologists, historians, and aestheticians. If they keep emphasizing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without recognizing the diversified artistic genres, however, they will make an error of looking at only branches instead of the source of the river foreve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수제천의 음악적 특징
Ⅲ. 수제천의 회화적 표현 방식
Ⅳ. 인식도 조사 및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일(Han Sang il). (2009).壽齊天의 繪畵的 表現方法에 대한 考察. 불교문화연구, 10 , 97-142

MLA

한상일(Han Sang il). "壽齊天의 繪畵的 表現方法에 대한 考察." 불교문화연구, 10.(2009): 9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