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朱熹의 廟數論과 宗廟制 改革論

이용수 17

영문명
Zhu Xi s Theory of Ancestral Tablets and the Reform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정신(Kim, Jeong-Shi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2집, 95~13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봉사(奉祀)해야 할 묘수, 그 중에서도 천자의 묘수에 관한 논의는 한대(漢代)에서 시작되었 다. 주희는 한대 묘제를 둘러싼 논쟁의 내용과 차이점들을 소상히 분석하였는데, 특히 위현성과 유흠의 설을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나름의 독자적인 묘제를 마련하였다. 주희는 천자가 처음 종묘를 세울 때는 4친묘에 시조묘를 더한 5묘로부터 시작하였다가 이후 공업(功業)에 의해 세실(世室)이 된 2종(宗)이 더해져 7묘로, 다시 종묘에 부묘되는 근친묘(近 親廟)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9묘로 확대된다고 보고 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당시 조정에서 희조(僖祖)의 조천을 두고 논쟁을 벌이는 가운데 보다 구체화되고 있었다. 희조의 조천을 둘러싼 논쟁과 주희의 입장, 그리고 희조 조천 논란 에 나타난 주희 묘수론의 특징은 천자의 묘제라 하더라도 그 시작은 4친묘를 추존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에 있었다. 이렇듯 천자의 묘제라 하더라도 그 시작은 4친묘를 추존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 주희 묘제론의 첫 번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천자의 묘제는 4친묘를 추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주장한 주희는 태조 이후 실질적인 황통(皇統)이 계승되면서부터는 유흠 (劉歆)의 묘제에 따라 기본 묘수에서 6친묘를 적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유흠의 설을 천자 묘제의 최종적인 완성형태로 보는 것이 주희 묘수론의 두 번째 특징이다. 묘수론을 통해 주희는 태조가 선조를 추존할 때는 사(士)·서인(庶人)과 공통되는 4친묘로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실질적인 황통의 계승이 이루어지면서부터는 사서인과 구별되는 6친묘를 적용함으로써 근친묘수에서부터 등급에 따른 예제의 차이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5묘제에 입각한 태조의 입묘, 사대부 층까지 확대 적용된 4대 봉사를 통해 공리(功利)에 대 한 천리․인륜의 우위를 확보하였던 한편 유흠 설에 입각한 차등 묘제를 천자 묘제의 완성으로 봄으로써 의리명분에 입각한 상하 관계의 안정된 질서를 유지하는 예치(禮治)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Discussions on the proper number of ancestral tablets to be used by the Son of Heaven when conducting ancestral rituals started in earnest during the Han dynasty, with the issue of what was proper and improper remaining unresolved until the Southern Song dynasty. At that time, Zhu Xi established a unique ancestral shrine system based on his re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number of ancestral tablets (廟數) hous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first characteristic of Zhu Xi s theory of the ancestral shrine system was related to his perception that the shrine should initially involve the use of four ancestral tablets, and this even in cases involving the Son of Heaven. This emphasis on the similar devotion of the Son of Heaven and the ruling class in terms of using four ancestral tablets (for the great-great-grandfather, the great-grandfather, the grandfather and the father) during ancestral rituals was design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Zhu Xi s theory was rooted in his assertion that six ancestral tablets (representing six generations of ancestors) should be employed when the actual imperial bloodline was successively inherited from the Tai Zu (太祖), or the founder of a dynasty. In other words, Zhu Xi sought to actualize the rules for the rites (禮治) designed to maintain a stable relationship order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ased on the concepts of loyalty and justification by differentiating the number of ancestral tablets used by the Son of Heaven and

목차

1. 서론
2. 廟數論에 대한 朱熹의 經學的 검토
1) 漢代 이래 묘수 논의
2) 묘수론에 대한 주희의 검토와 평가
3. 僖祖 祧遷 논란과 주희 묘수론의 특징
1) 희조의 조천에 대한 주희의 견해
2) 희조 조천 논란에 나타난 주희 묘수론의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신(Kim, Jeong-Shin). (2015).朱熹의 廟數論과 宗廟制 改革論. 동방학지, 172 , 95-131

MLA

김정신(Kim, Jeong-Shin). "朱熹의 廟數論과 宗廟制 改革論." 동방학지, 172.(2015): 95-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