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태진의 한글운동론과 조선어학회 활동 : 연희전문학교 학풍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이용수 175
- 영문명
- Jeong Taejin s Theory of the Hangul Movement and Activities withi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이준식(Lee, Junsik)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3집, 75~1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문연구와 실천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온것이 한국 근․현대 지성사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나는 이 글에서 실천운동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지성사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하려고 했다. 한글 연구자로서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한글운동에서는 누구 못지않은 활동을 벌이던 정태진에 대해 내가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정태진은 연희전문학교에서 스승이나 동료 학생들과 몇 년 동안 같이 공부하면서 민족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있었다. 초창기부터 학문과 실천을 함께 엮어 생각하는 것이 연희전문학교의 고유한 학풍이 되었는데 정태진도 이러한 학풍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한글운동가로서의 삶을 살 수 있었다.
정태진은 조선어학회 사건 이후 죽을 때까지 조선어학회 사건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죄의식 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글운동에 진력하는 삶을 살았다. 감옥에서 나온 이후 한글운동은 정태진 에게 삶의 모든 것이었다. 해방 이후 미군정과 대한민국정부, 그리고 모교인 연희대학교 등이 관료나 교수 자리를 제안했지만 정태진은 조선 어학회에서 사전을 편찬하는 일에 몰두했다. 그러면서도 한글운동과 관련된 글을 발표했고 필요하다면 대학이나 강습소에서 언어학과 한글을 가르쳤다. 조선어학회의 한글전용론을 체계 화한 최초의 단행본을 내고 거기에서 현실적으로 여전히 큰 힘을 발휘하고 있던 한자폐지 반대론을 고려해 점진적 폐지론을 주장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역사비교언어학의 관점에서 당시 로서는 이례적으로 방언 수집과 연구에 주목한 것도 높이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ne important feature of Korean modern intellectual history are the indispensable connections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social practice. This paper argues that we should extend the range of intellectual history. To this end, it pays attention to Jeong Taejin, an outstanding activist of the Hangul movement who did not receive special attention as a Hangeul scholar.
Jeong Taejin nurtured a national consciousness in his teachers and fellow students at the Yonhee College (Chosen Christian College). The weaving together of study and practice was a unique tradition of the Yonhee College since its early days, and Jeong Taejin could live his life as an activist thanks to this tradition.
Due to the liability of the Chosen Language Society case, he dedicated himself to the Hangul movement until his death to stave off feelings of guilt.
Alth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fered him a bureaucratic position or professorship after the liberation, he refused all proposals and applied himself to the compilation of a Hangul dictionary for the Chosen Language Society (Korean Language Society).
All the while, he published articles about the Hangul movement and taught Hangul and linguistic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monograph in which he argued for the exclusive use of Hangul and the gradual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noteworthy. His attention to the collection of Korean dialects in terms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was also unusual for the time and should be highly evaluated.
목차
1. 머리말
2. 연희전문학교에서의 배움
3. 함흥에서의 교사 생활과 미국유학
4. 정태진과 조선어학회 사건
5. 해방 이후의 한글운동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희 100년’ - 특집 취지문 -
- 정태진의 한글운동론과 조선어학회 활동 : 연희전문학교 학풍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근대 지식의 구축과 미션스쿨의 좌표 : 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 위당 정인보의 교유 관계와 교유의 배경 - 백낙준・백남운・송진우와의 교유 관계를 중심으로 -
- 연희전문학교 졸업생들의 사회 진출 기초 연구 - 기독교계 사립 전문학교로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
- 欽欽新書의 여성 관련 범죄 분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여성 인식과 시대적 의미
- 연세대 소장 해인사 사간본 역대연표와 삼국유사 「왕력」의 비교연구
- 문명의 전환과 세계의 개조 * : 1차대전 직후 카이조오(改造)의 문명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문헌과 해석 통권 제96호 목차
- [추사 시 속의 시인 2] 황혼의 시대 가을 시인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
- [추사 시 속의 시인 2] 남양주 수동면(水洞面) 만취대(晩翠臺) 유람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