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 지식의 구축과 미션스쿨의 좌표 : 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143
- 영문명
- Establishment of Modern Knowledge and the Status of Mission Schools: A Focus on the History of Donations to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Librar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김성연(Kim, Sung Yeun)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3집, 105~1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원이나 국가, 즉 종교나 정치의 관할 하에 있었던 도서관의 오랜 역사는 지식의 수집, 정리, 보존의 주도권이 권력과 관련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식민지 시기, ‘제국’의 권력도, ‘대학’의 권위도 없었던, 게다가 서양인 선교사의 기독 학교로 알려져 있었던 미션스쿨인 연희전문학교 도서관으로 가문과 개인의 도서가 유입된 역사적 사실은 ‘지식의 보관소’로 식민지 ‘정부’가 아닌 다른 영역이 상상되고 존재하고 있었음을 드러내준다.
1930년대 연희전문 도서관의 ‘개인문고’는 선교사와 조선인 엘리트가 선구 근대 지식과 유교
/실학 전통을 접속시키면서 조선 사회에 뿌리내 리고, 지식 아카이브로서의 공신력을 두고 제국과 경합하며, 동시에 친일적 인물의 장서도 흡습 해야했던 고투를 날 것으로 보여주는 역사적 공간이다. 선교사가 설립한 연희전문은 한문학 소양에 기반한 서양 유학파인 조선인들을 교수로 대거 기용하며 동양과 서양이 하나가 되는 ‘동서 화충’을 추구했다. 그 일환으로 정인보를 위시한 조선인 교수들의 ‘조선학’에의 매진과 ‘문서고’ 강화 사업은 ‘문헌학’이 곧 ‘국학’이라는 빌헬름 훔볼트의 이념 하에 설립되었던 근대 대학의 효시인 베를린 대학을 상기시킨다.
영문 초록
The long history of libraries under the management of temples or nations, that is, of religious or political authorities, symbolically shows that the col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rvation of knowledge are bound to be associated with power. The historical fact that books from families and individuals were brought into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Library — a mere mission school established by a western missionary that did not have the power of an “empire” nor the authority of a “university” — reveals that a domain other than the colonial “government” existed as an “archive of knowledg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personal library” of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in the 1930s was a historical space that candidly reflected the struggle through which missionaries and the Chosen elites applied modern knowledge to the traditions of Confucianism and Silhak, competed with the imperial power to win the name of a knowledge archive, and even embraced the books of pro-Japanese individuals at the time.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which was founded by a missionary, promoted “harmon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y hiring Chosen people who had studied in the West but whose knowledge was based on Chinese literature as professors. The vigorous endeavors to research the “Study of Chosen” by Chosenese professors, including Chung In-bo, and the “archive” reinforcement project mimicked the University of Berlin — the first of modern universities,founded by Wilhelm von Humboldt under the philosophy that studying “philology” was the same as studying a “nation.”
목차
1. 서론
2. 식민지 시기 미션스쿨의 문서고 형성 과정
1) ‘학교/college’에서 ‘대학/univers ity’으로
2) 1930년대 개인문고의 형성
3) 기증자와 기증도서
4) 도서관 운영위원회
3. 책의 공유(公有)와 지식의 접합 혹은 경합
1) ‘장서 기부’ 권하는 사회
2) 미션스쿨과 조선인 엘리트, 그리고 유학
3) 지식 아카이브의 헤게모니 쟁투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희 100년’ - 특집 취지문 -
- 정태진의 한글운동론과 조선어학회 활동 : 연희전문학교 학풍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근대 지식의 구축과 미션스쿨의 좌표 : 연희전문학교 도서관 기증사를 중심으로
- 위당 정인보의 교유 관계와 교유의 배경 - 백낙준・백남운・송진우와의 교유 관계를 중심으로 -
- 연희전문학교 졸업생들의 사회 진출 기초 연구 - 기독교계 사립 전문학교로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
- 欽欽新書의 여성 관련 범죄 분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여성 인식과 시대적 의미
- 연세대 소장 해인사 사간본 역대연표와 삼국유사 「왕력」의 비교연구
- 문명의 전환과 세계의 개조 * : 1차대전 직후 카이조오(改造)의 문명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