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이용수 455

영문명
The Tradition of the New National Construction Idea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nd Gyeong’se yupyo (經世遺表)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정호훈(Jeong, Ho-hu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0집, 1~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세유표(經世遺表)는 이전 시기 반계수록(磻溪隨錄)과 같은 책에서 시도한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을 계승하며 저술되었다. 필자 는 이 두 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경세유표 국가론의 성격이 어떠했던 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작업 과정에서 특히 주목한 점은 국가구상의 핵심을 이루던 전제(田制)의 특징, 그리고 이와 연관되는 국가 성격의 변화였다. 반계수록에서 경세유표에 이르는 동안 새로운 국가구상의 핵심을 이루었던 사안은 사유재산제에 기반한 농업경제․토지제도가 만들어 내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두 책의 저자는 당시 조선의 모든 문제 는 지주전호제로부터 비롯한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므로 이 과제 해결을 중심으로 국가를 기획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반계수록에서는 전 토지를 공전화(公田化)한 공전제를 기반으로 국가 체제를 구상했고, 경세유표에서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이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는 토지제도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전자의 방식은 개개인이 가지는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혁명적으로 제한하여 국가가 이를 온전히 관리하는 성격을 지녔다. 후자는 사적(私的) 토지소유를 인정하는 위에서 국가가 경제적인 방식을 활용하여 공전을 확보, 공전과 사전이 균형을 이루는 체제로 기획되었다.당대 농업․농민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반계수록에서는 토지를 농민들에게 나누어주는 방식을 중시했다면, 경세유표에서는 공전(公田)의 확보를 바탕으로 사전(私田)의 확장을 제한하는 한편 상업과 수공업 등 전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주목했다. 반계수록에서 경세유표에 이르는 동안 논의되고 형상된 새로운 국가상은 조선후기 대변화를 꿈꾸었던 사회 일각의 열망이 반영된 것이거니와, 국가․사회․인간의 혁신을 둘러싼 여러 논의가 어떠한 내용,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갔던 지를 풍부하게 알려준다.

영문 초록

Gyeong’se yupyo (經世遺表) was written to perpetuate the tradition of the new national construction idea, which books such as Pan’gye surok (磻溪隨錄) had started.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theory of national self-governan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books. It identifies the character of the land system as making up the core of the national idea in the two books, and the change in national character associated with it. At the core of the new national Concept from Pan’gye surok to Gyeong’se yupyo was the question of solving the problem of an agricultural economy and land system based on an private property system. As the authors of both books believed that all the problems of Chosun originated from the land system, it was natural for them to plan national governance around it. In the Pan’gye surok, the system wa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whole land a common land. On the other hand, In the Gyeong’se yupyo, the state was designed to be built on a land system in which common land and private land were balanced in a certain ratio. The former method revolutionized the private ownership of each individual, and the nation managed it completely. In this national system, the land system would be hidden. The latter method promoted the securing of common land using the economic method to recognize the private property system. In this system, there would be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shared land and private land, and the private ownership land scheme would not been dismantled by direct pressure from the state power. To solve the agricultural and farming problem, Pan’gye surok chose to distribute the land to farmers, while Gyeong’se yupyo focused on reducing the tax burden on farmers and promoting all industries, including commerce and handicrafts.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national conception had greatly evolved in terms of feasibility from Pan’gye surok to Gyeong’se yupyo.

목차

1. 머리말
2. 『반계수록(磻溪隨錄)』의 국가구상과 그 변용
3. 『경세유표(經世遺表)』의 구상: 공(公)․사(私) 균형 이념과 국가 주도적 사회발전론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호훈(Jeong, Ho-hun). (2017).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동방학지, 180 , 1-37

MLA

정호훈(Jeong, Ho-hun).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동방학지, 180.(2017): 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