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이용수 68
- 영문명
- Marine Terrace of Daebo-Guryongpo-Gampo, SE Korea(II)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최성자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7권 2호, 245~25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대보-감포간 해안단구는 6개의 단구면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각각 하위로부터 1단구(T1, 0.5m), 2단구(T2, 10m), 3단구(T3, 30m), 4단구(T4, 40m), 5단구(T5, 60m), 6단구(T6, 75m)이다. 이 가운데 3단구(T3)는 두개의 단구로 분류되며, 하위면을 T3b, 상위면을 T3a로 정하였다. 3단구 하위면(T3b)의 구정선을 보여주는 해식애의 발달이 뚜렷하지 않아 단구 세분이 어려운 곳은 통합하여 3단구(T3)로 정하였다. 단구형성시기를 직접적으로 지시해주는 화석은 없으나, 2단구의 퇴적층에서 OSL 연대 자료가 다량 도출되어 있으며, 이 자료를 통하여 단구 형성시기를 정할 수 있다. 2단구(T2) 퇴적층에서 OSL 연대는 60-70ka에 수렴하고 있어,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산소동위원소에 의한 시대 분류)의 5a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3단구는 MIS 5e, 4단구는 MIS 7에 대비된다. 본 연구지역에서 MIS 5e인 3단구 상위면(T3a)은 현해수면으로부터 30m 높게 융기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지역의 융기율은 약 0.19m/ka로 계산된다. 이와 같은 융기율은 국지적인 지구조운동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36km-long Daebo-Gampo coast has a well-developed marine terraces divided to six steps by elevation of paleoshoreline: 0.5m(T1), 10m(T2), 30m(T3), 40m(T4), 60m(T5) and 75m(T6). The 2nd and 3rd platforms in Daebo to Guryongpo are wider and more distrinctive than those of Guryongpo to Gampo. The 3rd terrace of 30m high is sudivided to two flights as lower(T3a) by old sea cliff. Paltform age is unclear because of coral fossil free. However, the terrace of 10m high range in 60-70ka. It reveals that the 2nd-step platform correlates to Oxygen Isotope Time scale, substage 5a(ca. 80 ka), and that uplift rate is ca. 0.19 m/ka for 2nd terrace at Daebo-Gampo coast. If considering equivalent uplift rate for all terraces since the Late Pleistocene, the 3rd and 4th terraces would be 5e substage and 7 stage. The 30m-high terrace provides a good indicator for uplift at Daebo-Gampo coast since 125,000 yrs(MIS 5e). It suggests that the local neotectonic deformation might cause an optional uplift rate of ca. 0.19m/ka along the SE coast of Kore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베이지안 확률 기법을 이용한 보은지역의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및 검증
- 풍암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류에 대한 고지자기 및 암석자기 연구
- 유류오염물질의 GPR 반응에 대한 모델 실험 연구
-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 심해저 퇴적물의 전단강도 특성
- 하남시 춘궁동 오층석탑의 암석학적 및 보존과학적 훼손도 평가
- 한강상류 하상퇴적물과 인근유역육상지질과의 지화학적 상관관계
- 인도네시아 반둥 남부 수방산지역에서의 토양지화학 탐사
- 북동태평양 심해저 퇴적물의 베인전단강도 측정에 관한 연구
-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