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대호안 경관의 수행적 소비에 의한 미시간 장소성의 감응과 강화

이용수 137

영문명
The Affect and Consolidation of Michigan’s Sense of Place through the Performative Consumption of the Great Lakescape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홍금수(Keumsoo Ho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9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시간은 빙하지형, 청량한 기후, 모레인 토양, 솔송나무·단풍나무·참피나무 혼합림의 자연환경을 구비한 미국 중서부의 대표지역으로서 이리, 세인트클레어, 휴런, 미시간, 슈피리어 등의 호수에 연하여 ‘오대호의 주’라는 별칭을 가진다. 숭고함과 장엄함의 경관미학을 구현한 오대호가 미시간의 장소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경관을 매개로 미시간 사람들과 그들 본원의 장소인 오대호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행과 감응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오대호의 파노라마와 스펙터클에 기초한 미시간 숭엄미학의 구현체인 호안경관은 신화·원시자연·축적·과학·성찰 등의 중층적 맥락에서 조망자의 인식·태도·취향에 따라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호안경관의 실천적 소비를 통한 주체와 장소 상호간의 감응은 장소감을 규정하며, 그런 수행이 일상적으로 반복될 때 장소성의 강화로 귀결된다는 논제의 확인을 목표로 한다. 연구를 통해 코헨의 유희, 레크리에이션, 경험, 실험, 실존 등의 의미를 담은 호안경관 소비의 수행은 미시간 장소애의 감응을 촉발하고 장소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 석되었다.

영문 초록

Michigan, a representative place in American Midwest, has been known as the Great Lakes State as it has prominent lakes of Erie, St. Clair, Huron, Michigan and Superior on the shore. I try to interpret the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Michiganders and their cosmic center of the Great Lakes from the non-representational perspectives of performance and affect. Given that the sublime and grandeur landscape aesthetics of Michigan builds on the symbolic meaning and spectacles of the Lakes, I assume that Michigan’s sense of place has been socially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myth, pristine nature, accumulation, science and reflection embedded upon the lakeshore. Based on the evidence from fieldwork I argue that the corporeal routines of performative consumption of lakescape with Cohenean multiple implications of diversion, recreation, experience, experiment and existence propel the affect of sense of place and topophilia and consolidates the place identity of the State of Water Wonderland

목차

1. 서 론
2. 인식과 실천에 의한 경관과 장소의 구성
- 꼬르벵의 해변 사례 -
3. 오대호, 미시간 장소정체성의 연원
4. 오대호 인식의 중층 메타포
5. 인식의 체현으로서 호안경관의 소비와 장소성
6.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금수(Keumsoo Hong). (2017).오대호안 경관의 수행적 소비에 의한 미시간 장소성의 감응과 강화. 문화역사지리, 29 (2), 1-30

MLA

홍금수(Keumsoo Hong). "오대호안 경관의 수행적 소비에 의한 미시간 장소성의 감응과 강화." 문화역사지리, 29.2(2017):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