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키야(samkhya) 철학의 自我(purusa) 개념에 대한 고찰

이용수 222

영문명
The Study about the purusa conception in the Samkhya philosophy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김경춘(Kim, Kyung-choon)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3호, 13~63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리그베다의 purusa-sukta에서 유래한 상키야 철학의 自我인 purusa는 인더스 문명 또는 Veda의 父權 사상에 기초한 原質에 반대되는 비활동적인 自我(purusa) 로 남는다. 또한 Brh, KU, SU 등의 우빠니샤드의 自我인 atman은 SK의 自我와 가장 근접한 형태의 purusa를 제시한다. puru/puru에서 파생된 purusa는 SK에 의해서 인간, 개인, 영혼, 정신을 의미하는 전문용어로 채택된다. 이와 같이 RV에서 Up에 이르는 自我 개념을 통합하는 purusa는 고전 상키야 철학에서 다음과 같이 인식된다. 첫째, 상키야 철학에서 自我는 본질적으로 각 개체의 인식의 주체로서 나타난다. 둘째, 自我는 본성상 순수한 의식이고, 빛과 같이 존재한다. 셋째, 상키야 철학은 육체적.정신적.도덕적 차이를 모든 살아있는 존재에게서 발견하고, 추리에 의해서 다수의 自我가 있다고 주장한다. 넷째, 상키야 철학의 윤리학 에서 自我는 최상의 목표가 된다. 그러므로 상키야 철학의 自我 개념은 한편으로 인도철학사에서 Carvaka 철학이나 불교처럼 物質의 실재를 인정하고, 다른 한편으론 정통파처럼 自我의 실재를 주장하면서, 정통파와 비정통파의 두 극단의 철학적 경향들을 조화시킨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상키야 철학의 自我는 물질원리인 原質과 정신원리인 自我의 동등한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양자의 부조화를 조화로 이끈다.

영문 초록

Purusa of the Samkhya philosophy from the purusa-sukta in RV is traslated variably according to modern Samkhya scholars. Weeringhe held that the thought of the Indus civilization or the dyaus pitar and Siva linga would form the basic Self(purusa) conception of SK(Samkhyakarika). Macdonell translated the Self of SK on a basis of the dyavaprthivi of RV. According to him, the personification of the sky as god never goes above and beyond the basic phase in RV and is limited almost completely to the patripotestal idea. Such a property of the dyaus of Veda remained the inactive Self(purusa) against the elemental substance(prakrti) full of energy as the universal Mother. Grassman described that he traslated the etymology of purusa related to the puru/puru representing the human being and purusa was adopted to the technical term meaning the human being, the individual, the soul and the sprit by SK. It was explained the epistemological aspect about purusa in Brh.Up. For KU, it gave the closest purusa s form with SK s Self. Purusa like a thumb mentioned in SU and this is used as the enjoyer meaning the soul in the western philosophy. Such a purusa as the Self of the Samkhya had unified the Self conception from RV to Up. The main reason to notice the classical Samkhya holds very the Self of majority . It is the Self of majority that appreciates the Self s differing with and not differing with the Indian orthodoxy. The Samkhya recognizing the Self of majority expresses clearly the value of Self existing with the matter to the human beings that attach the matter world in the world developed of the matter and the Self. Thi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balance between the matter and the Self that the human being has to aim for the value, also protects the Self s existence from the materialism and the Buddhism criticizing the social condition to get extreme toward only the matter, and at the same time by denying the Self as the One appears the thought of human equality that all beings have the equal value. Relating this, Vacaspati Miśra said the absurd on the universal uniformity of the human being s action is avoided by the Self of majority. Such a ecdysis of the uniformity symbolizes that the salvation depends on each of the individual. This suggests the Isolation(kaivalya) meaning the liberation in the classical Samkhya. It is said that the Isolation is to be entirely cut off from the other.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 of majority and the Isolation accompanies a cool vision on the absent of communication among the human society. The absent of communication among the persons represents not only the cognition about the subject and the object as the matter and the spirit, but also cognitional difference between a person and a person implies. So the absent of communication among living beings remains still in the state of Isolation. Finally as the experience of suffering is contribu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such of that in the Isolation also remains each of the individual s. Therefore the Self in the Samkhyaphilosophy is the cool intuition on the essence of the human being and connotes the skepticism on the human society not to unify spiritually and psychologically as the one. As the manifested world is only the difference of matter s manifestation, So the Samkhya philosophy maintains the human equality recognizing the Self that has the equal nature in all beings.

목차

Ⅰ. 서론
Ⅱ. 有神論的 상키야 철학에서 自我
Ⅲ. 無神論的 상키야 철학에서 自我
Ⅳ. 고전 요가 철학의 自我
Ⅴ. 고전 상키야-요가 철학에서 自我 개념에 대한 공통인식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춘(Kim, Kyung-choon). (2010).상키야(samkhya) 철학의 自我(purusa) 개념에 대한 고찰. 요가학연구, (3), 13-63

MLA

김경춘(Kim, Kyung-choon). "상키야(samkhya) 철학의 自我(purusa) 개념에 대한 고찰." 요가학연구, .3(2010): 1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