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헤어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4

영문명
The Effect of Teaching Tools Making with Smart Phone on Hair 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 Jun) 도명애(Do, Myung Ae) 이춘옥(Lee, Chun Ok) 박정미(Park, Jeong Mi)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4권 제3호, 81~10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헤어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남학생 3 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 환경은 대상학생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가정의 화장실과 자기 방이었다. 목표행동은 헤어관리기술로써, 머리감기와 머리모양내기의 두 가지 하위기술들로 분류되었다. 그리 고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은 대상학생들이 스마트폰에 포함된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기능을 직접 활용하여 헤어관리기술의 습득에 필요한 교구들 역시 직접 제작하는 것이다. 대상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직접 제작한 교구들은 과제 도구판, 동영상 자료, 그림일기와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된다. 이런 교구들은 대상학생들이 헤어관리기술 수행을 위한 활용 장소 및 도구를 구체 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비롯해, 헤어관리기술의 과제분석에 대한 각 수행 단계를 타인 및 자기모방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중재프로그램의 세 가지 절차들은 상호간 순차적이고 협력 적으로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학생들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을 통하여 헤어관리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독립변인과 종 속변인의 기능적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ing tools making with smart phone on hair management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ee 7th grade male students attending special class at a middle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bathrooms and bedrooms of houses in which the subjects are actually living. Objective behaviors were hair management skill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subordinate skills such as shampooing and hair styling. Also, teaching tools making with smart phone,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volves direct making of teaching tools needed to learn hair management skills by students using photograph and video functions available on smart phones. Teaching tools directly made by subjects using smart phon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task instrument board, video material and picture diary. The meaning of these tools was in allowing subjects to specifically recognize the places and tools for performing hair management skills, as well as to facilitate them in imitating others and themselves during each step of task analysis on hair management skills. In addition, the three procedures of intervention program were applied sequentially and collabora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learn and maintain hair management skills through making of teaching tools using smart phones. Lastly, functional properti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tools making with smart phones shown in the study results, as well as the value of hair management skills in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comprehensively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환경 및 기간
3. 목표행동(종속변인)의 하위분류 및 과제분석
4.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
5. 실험설계 및 조건
6. 자료측정
7. 관찰자간 신뢰도 및 중재 충실도
Ⅲ. 연구결과
1. 헤어관리기술 습득 효과
2. 헤어관리기술 유지 효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 Jun),도명애(Do, Myung Ae),이춘옥(Lee, Chun Ok),박정미(Park, Jeong Mi). (2014).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헤어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4 (3), 81-103

MLA

김영준(Kim, Young Jun),도명애(Do, Myung Ae),이춘옥(Lee, Chun Ok),박정미(Park, Jeong Mi). "스마트폰을 활용한 교구제작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헤어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4.3(2014): 8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